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1

해외자원개발 전략 연구: 중앙아시아지역 자원개발 진출 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정우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xxxix231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1
서지주기
참고문헌 (p.229-231)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37대출가능-
자료실P42133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3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중앙아시아는 세계 자원보고의 하나이며 미탐사 지역이 많아 잠재 매장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동지역 다음으로 많은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의 카스피해 해상 유전과 가스전에는 막대한 규모의 석유와 가스가 부존되어 있다. 또한, 아직도 미탐사 지역이 광활하게 남아 중장기적 자원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그럼에도 한국 기업의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진출은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확보한 석유?가스의 가채매장량 중 중앙아시아에서 확보한 가채매장량은 2010년말 현재 3.3%에 불과하고 중앙아시아에서 생산한 원유와 가스의 자주개발생산량은 전체 자주개발생산량의 0.8% 수준이다. 중앙아시아 광물자원개발에 투자한 금액도 2010년말 기준 전체 광물투자액(누적투자액)의 3.2%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기업의 대 중앙아시아 진출이 저조한 이유는 자원개발 후발주자라는 측면도 있지만, 이 지역이 러시아, 중국 등 주변국과 메이저 석유개발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미국과 유럽 등 강대국의 자원각축장으로서 자원경쟁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또 중앙아시아 자원매장지 대부분이 고압, 고온과 함께 황화수소(H2S), 이산화탄소 성분이 많아 광구를 개발하려면 고도의 개발 기술이 필요하다. 역내 국가들은 강력한 중앙집중적 권위주의 체제에다, 법?제도의 투명성도 크게 낮아 제도적 투자리스크가 큰 것도 우리나라의 진출이 저조한 이유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중앙아시아의 투자환경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의 자원부국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4개국의 광구개발 현황과 투자환경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의 효과적인 진출방안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중앙아시아 자원개발환경과 한국의 진출현황 1. 중앙아시아 자원부존 및 개발현황 2. 중앙아시아 석유?가스 수송망과 역내 국가들의 자원전략 3. 아시아 주요국의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진출현황과 전략 4. 한국 기업의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진출현황 및 과제 제3장 카자흐스탄 석유?가스개발 잠재력 및 진출전략 1. 석유?가스개발의 전략 분지 및 E&P 현황 2. 자원개발 투자환경 분석 3.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개발 진출방안 제4장 우즈베키스탄 석유?가스개발 잠재력 및 진출전략 1. 석유?가스 부존 및 퇴적분지 2. 석유?가스개발 투자환경 분석 3. 외국 E&P 기업의 석유?가스개발과 투자전략 4. 우리나라의 석유?가스개발 진출전략 및 추진방안 제5장 투르크메니스탄 석유?가스개발 잠재력 및 진출전략 1. 석유?가스개발의 전략 분지 및 E&P 현황 2. 자원개발 투자환경 분석 3. 투르크메니스탄 석유?가스 개발 진출방안 제6장 아제르바이잔 석유?가스개발 잠재력 및 진출전략 1. 석유?가스 부존 및 퇴적분지 2. 석유?가스개발 투자환경 분석 3. 외국 E&P 기업의 석유?가스개발과 투자전략 4. 우리나라의 석유?가스개발 진출전략 및 추진방안 제7장 중앙아시아 광물자원개발 잠재력 및 진출전략 1. 카자흐스탄 2. 우즈베키스탄 3. 투르크메니스탄 제8장 종합 전략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