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09Studies on the price and cross elasticity of the domestic vehicle fuel consumption
국내 수송용 연료 수요의 가격 및 교차 탄력성 추정에 관한 연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iv v vii 120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3-120)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3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수송용 유류 소비식의 추정은 주로 연료 소비의 가격 민감도 측정필요성으로 인해 학계와 정책입안자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아 왔는데 특히 해외에서는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는 휘발유 세금인상 정책 등의 정책적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사용되기도 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수송부문 미세먼지 배출 감축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세금 조정을 통한 수송용 연료의 상대가격 재설정과 경유 소비량 감소 유도가 논의된 바 있는데 이러한 정책의 효과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연료 소비의 자기가격 및 소득 변화에 대한 장기적 반응뿐 아니라 대체 연료 가격에 따른 장기적 반응에 대한 추정도 요구된다. 하지만, 지금껏 국내·외 연구에서 보고된 다양한 탄력성 수치들은 적지 않은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신뢰도 있는 교차탄력성 수치를 제시하는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절한 설명변수의 선택을 통해 수송용 유류 소비의 가격, 소득 및 교차 탄력성 등을 체계적으로 추정하고 이와 관련된 통계적 검정을 수행하는 것에 초점을 두며 최근의 국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분석결과의 적시성을 제고하기로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수송용 유류 수요 추정 선행 연구
1. 휘발유 소비
2. 경유 소비
3. LPG 소비
제3장 수요 측정 및 공적분 검정방법론
1. 추청방법론
2. 공적분 검정방법론
제4장 부문별 수요 추정
1. 휘발유(도로여객) 수요 측정
2. 경유(도로여객) 수요 측정
3. 경유(도로화물) 수요 측정
4. LPG(도로여객) 수요 측정
5. 수요 측정 결과 활용 및 시사점
제5장 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