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9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for Implementation of Low Carbon Policies - Assessment of Sectoral GHG Mitigation Policies (2/3)

저탄소 정책의 온실가스 부문 평가지표 개발 및 저탄소 정책 수립방향 연구(2/3): 부문 및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 실적 평가

연구책임자
노동운
연구참여자
김길환, 이효선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형태사항
ⅺ ⅴ ⅹⅹⅵ 38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9
서지주기
참고문헌(p.387-38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4872대출가능-
자료실P42487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48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48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는 국제평가 및 검토(IAR)를 통해 부속서 I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2년 마다 점검하고 있다. 또한 국제자문 및 분석(ICA)을 통해서 비부속서 I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상황을 분석하고 있다. 파리협정(Paris Agreement)에서도 2023년부터 지구적 이행점검(global stocktaking)을 5년 마다 실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 배출량(BAU) 대비 37% 감축하는 2030년 감축목표(2015년)에 이어. 부문별 및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 이행 로드맵을 설정했다(2016년 12월). 감축 로드맵의 성실한 이행을 위해서는 감축노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감축노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가스 감축 평가지표를 포함한 가법적 지수분해분석방법론(LMDI)을 사용하여 2000-2015년의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증감을 분석하고,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을 생산효과, 구조효과, 에너지집약도효과, 에너지믹스효과, 온실가스 배출계수효과로 분해하고, 생산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4개 효과의 합계를 온실가스 감축노력효과로 정의했다. 분석대상은 전환부문(발전, 정유), 산업부문(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제지), 수송부문(도로, 철도, 항공, 해운), 가정 및 상업부문이며, 온실가스는 연료연소와 전력 및 열 소비에 의한 온실가스(CO2, CH4, N2O)이다. 생산활동 변수는 부가가치와 같은 경제변수 대신 온실가스 배출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 생산량을 사용했으며, 업종내 제품별 혹은 공정별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한 점이 특징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론 제2장 연구 방법론 및 자료 제1절 지수분해 분석방법론 1. 지수분해 분석방법론 2. 가법적 지수분해 분석방법론 3. 온실가스 감축노력 평가 지표 제2절 분석에 필요한 자료 1. 지수분해 분석 구조 및 관련 자료 개요 2. 부문 및 업종별 자료 3. 에너지 소비량 및 에너지 발열량 자료 4. 온실가스 배출계수 제3절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1. 1차 에너지 소비 추이 2. 연료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제4절 지수분해와 온실가스 감축정책 1. 온실가스 감축 관련 목표지표 2.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지수분해 관계 제3장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제1절 전력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1. 전력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전력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전력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전력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전력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6. 전력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2절 정유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1.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정유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정유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정유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정유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6.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4장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제1절 시멘트산업 1.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시멘트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시멘트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시멘트산업 제품별 에너지 소비 자료 5. 시멘트산업 지수분해 분석 결과 6. 시멘트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7.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2절 철강산업 1. 철강산업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철강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철강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철강산업의 공정별 에너지 소비 추정 5. 지수분해 분석 결과 6. 철강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7.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3절 석유화학산업 1.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석유화학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석유화학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석유화학 제품별 에너지 소비 추정 5. 지수분해 분석 결과 6. 석유화학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7.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4절 제지산업 1.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제지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제지산업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제지공정별 에너지 소비 자료 5. 지수분해 분석 결과 6. 제지산업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7.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5장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제1절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증감 분석 1. 도로교통 온실가스 증감 평가 지표 2. 도로교통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도로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도로교통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도로교통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6. 도로교통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2절 철도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증감 분석 1. 철도교통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철도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철도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철도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철도교통의 지수분해 요인별 효과 6. 철도교통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3절 항공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증감 분석 1. 항공교통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항공교통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항공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항공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항공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요인별 효과 6. 항공교통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4절 해운교통의 온실가스 증감 분석 1. 해운교통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해운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해운교통의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4. 해운교통 지수분해 분석 결과 5. 해운교통 지수분해 분석 요인별 효과 6. 해운교통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6장 가정 및 상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제1절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1. 가정 및 상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평가 지표 2.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구조 3.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관련 자료 제2절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결과 1.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결과 2. 가정 및 상업부문 지수분해 분석 요인별 제3절 가정 및 상업부문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1. 가정부문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2. 상업부문의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제7장 결론 제1절 연구내용 요약 1. 연구개요 2.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결과 3.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결과 4.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결과 5. 가정부문 및 상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분석 결과 제2절 시사점 및 향후 연구 1. 온실가스 감축효과 및 시사점 2.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주요 요인 및 시사점 3.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주요 요인 및 시사점 4. 제품 생산구조 변화 및 시사점 5. 에너지 소비 추이 및 시사점 6.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및 시사점 7. 에너지 전환 및 시사점 8. 에너지 집약도 추이 및 시사점 9. 온실가스 집약도 추이 및 시사점 10.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