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29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 아프리카(서부권)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

연구책임자
이성규
연구참여자
유학식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vviivii183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29
서지주기
참고문헌 (p.180-183)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33대출가능-
자료실P42133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3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3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현재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사업에서 아프리카 사업비중은 5% 미만이며, 석유와 가스의 도입량도 전체 물량의 2~3%에 불과하다.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외교를 확대하면서 자원개발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경험 부족으로 자원개발 사업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기업들은 메이저 기업들이 아프리카 자원개발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발주자로서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진출방식을 개발?추진해 왔다. 예를 들면, 인프라 건설과 자원개발을 동시에 추진하는 동반진출방식을 선택?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선진국은 개발원조를 자원 확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국가들을 비판하고, 이런 형태로 지원 받는 아프리카 국가들에도 직?간접적인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도 특히 중국의 이러한 자원 확보 전략에 대한 반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욕구(Needs)와 우리나라 기업들의 자원개발 사업 진출을 좀 더 정교하고 폭넓게 접근?결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의 경제개발 추진과정, 주요 경제정책(민영화, 산업화, 고용), 에너지 거버넌스(governance)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정확한 Needs을 파악하고, 이를 자원개발 사업진출에 접목시키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부아프리카 주요 자원부국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과정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요인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1. 경제성장과 자원지대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 단?장기 경제성장 정책 4. 상업화?민영화 전략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자원의 저주’ 2. 자원민족주의 전략 추진 제5장 서부아프리카의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 산유국별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 및 개발전략 2. 외국기업의 진출 특징과 최근 동향 3. 유망 석유?가스 광구와 투자환경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 자원개발 진출 전략 2. 기업차원의 CSR활동을 통한 진출 전략 3. 산유국의 경제발전 욕구에 부합하는 진출 전략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미리보기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pdfPDF

첨부
번호제목유형
1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pdfPDF3.1 MB
  • 1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pdfPDF3.1 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