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5Study on a comprehensive system of energy intensity for Korea
에너지원단위를 이용한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 개발 및 분석
- 연구책임자
- 김철현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xviii 13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1-124)수록
- 키워드
- 에너지효율 지표, BCG 디비지아 모형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30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0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3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0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국가 기준에서 에너지원단위는 에너지효율을 대표하는 데 한계가 존재함.
○ 국가 전체의 에너지효율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단위의 한계를 최대한 극복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 지표가 필요함.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원단위에서 최대한 효율과 무관한 요소를 제거하여 국가 전체의 에너지효율 지표를 도출하는 것임.
2. 연구 방법론 및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연구 방법론
○ 본 연구는 Belzer, Cort, and Ganguli(2020)(이하 BCG)의 모형을 국내 자료에 적용함.
■BCG와의 차별성
○ BCG와 자료의 존재 및 관심 요소 등으로 통계의 세분류, 활동 변수, 분해 요소 등에서 차이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BCG에서와는 달리 열량환산기준 변경 효과를 제거하여 분석을 시도함.
○ BCG는 에너지효율 지표 시스템 구축에 중심으로 두고 효율 변화에 대한 분석은 향후 연구로 제시했지만, 본 연구는 우리나라 효율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
3. 주요 분석 결과
■산업 부문
○ 산업 부문의 분석에는 에너지효율과 관련이 적은 원료용 에너지는 제외하고 분석했으며, 에너지원단위 계산에 이용된 활동 변수로는 산출액을 사용함.
○ 효율 지표의 개선 폭은 부문 전체의 에너지원단위 개선 폭과 차이를 보임.
○ 열량환산기준 효과를 제거한 기간별 분석에서는 2012~2016년 기간 개선되어왔던 효율이 2017~2020년 기간에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서비스업 부문
○ 서비스업의 분석에서는 에너지총조사를 이용해 에너지소비를 하위 업종별로 나눠서 분석했으며, 활동 변수는 산업과 동일하게 산출액을 사용함.
○ 산업과 유사하게 효율 지표의 개선 폭이 에너지원단위 개선 폭 대비 작았으나, 그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었음.
○ 기간별 분석에서도 서비스업의 효율은 2012년~2020년 기간 연평균 3% 정도로 빠르게 개선돼 양호한 개선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남.
■가정 부문
○ 가정 부문의 분석은 주택 형태별(단독주택, 아파트, 공동주택) 에너지소비와 주택 수 자료를 이용함.
○ 가정의 효율과 에너지원단위는 2014년경까지는 대체로 개선되었으나, 이후로는 개선세가 멈춘 것으로 나타남.
○ 기간별 분석에 따르면 일차에너지 기준 효율은 2017~2020년에는 소폭 악화했으며, 최종에너지 기준 효율은 동 기간 정체한 것으로 나타남.
■ 수송 부문
○ 수송 부문은 자료 한계 등으로 해운 부문을 제외한 도로, 항공, 철도의 에너지소비와 수송서비스 자료를 이용함.
○ 수송 효율은 2020년을 제외하고 수송 전체의 에너지원단위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임.
○ 기간별 분석에서는 2020년의 급격한 효율 변화로 기간-4(2017~2020년) 효율이 연평균 2.0% 악화된 것으로 분석됨.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 도출
○ 부문별 효율 지수를 이용해 상향식으로 도출된 국가 전체의 효율 지표는 2017년경까지 개선되다 이후는 개선(하락)세를 멈춤.
■국가 발전효율(발전원단위) 변화 분석
○ 총 발전원단위는 국가 전체의 발전효율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총 발전원단위를 협의의 발전 에너지원별 효율, 발전믹스, 열량환산기준 효과로 분해하여 분석함.
○ 분석 결과 국가 총 발전효율(발전원단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열량환산기준 변경으로 나타남.
○ 기간별 분석으로는 에너지전환정책 효과 분석을 위해 2012~2016년과 2017~2021년(에너지전환정책 기간)을 비교 분석함.
4. 결론
■연구의 의의
○ 기존에 국가 에너지효율을 대표하는 변수로 사용되는 에너지원단위 대비 에너지효율 변화를 더욱 잘 추적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 지표를 도출함.
■주요 결론 및 정책제언
○ 기존의 에너지원단위와 에너지효율 지표의 변화 폭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국가 에너지효율 정책의 평가 기준을 현재와 같이 국가 에너지원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불합리함을 나타냄.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 연구 및 방법론
1. 선행 연구
2. 연구 방법론
2.1. 기본 모형
2.2. Mode-1
2.3. Mode-2
2.4. Mode-1 vs. Mode-2
3. 기온 효과
4.열량환산기준 변경 효과
제3장 부문별 에너지효율 지표
1. 제조업 부문
1.1. 업종 분류 및 에너지소비 분석
1.2. 제조업 일차에너지원단위 요인 분해 결과
1.3. 제조업 효율 지표
2. 비제조업 부문
2.1. 업종 분류 및 에너지소비 분석
2.2. 비제조업 일차에너지원단위 요인 분해 결과
2.3. 비제조업 효율 지표
3. 서비스업 부문
3.1. 업종 분류 및 에너지소비 분석
3.2. 기온 효과 제거
3.3. 서비스업 일차에너지원단위 요인 분해 결과
3.4. 서비스업 효율 지표
4. 가정 부문
4.1. 주택 형태별 주택 수 추정 및 에너지소비 분석
4.2. 기온 효과 제거
4.3. 가정 부문 일차에너지원단위 요인 분해 결과
4.4. 가정 부문 효율 지표
5. 수송 부문
5.1. 하부 분류, 활동 변수 설정 및 에너지소비 분석
5.2. 수송 일차에너지원단위 요인 분해 결과
5.3. 수송 부문 효율 지표
제4장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 및 발전 효율
1. 국가 전체의 에너지효율 지표
2. 발전 부문
2.1. 발전 효율과 원단위
2.2. 총 발전원단위 요인 분해
제5장 기간별 국가 에너지효율 변화 분석
1. 열량환산기준 변경을 고려한 기간별 분석
1.1. 제조업 부문
1.2. 비제조업 부문
1.3. 서비스업 부문
1.4. 가정 부문
1.5. 수송 부문
1.6. 국가 전체 종합
2. 에너지전환정책 효과
제6장 결론
1. 주요 분석 결과
2. 정책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참고 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