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7
탄소중립 정책 지원을 위한 에너지총조사 개편 방향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Energy Consumption Survey for Carbon Neutral Policy
- 연구책임자
- 최문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iii vi 68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67-6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01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01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01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01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에너지총조사가 탄소중립 관련 정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가 필요
○ 본 연구의 목적은 탄소중립 관련 주요 정책의 수립 및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총조사 개편 방향을 도출하는 것임.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공통 개편 방향
○ 부문별 순환조사 추진
- 부문별 표본크기를 확대함과 동시에 조사 관리의 효율성 및 조사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문별, 연차별로 순환하며 조사하는 방식으로의 변경 필요
○ 시군구 단위 통계 작성안 마련
- 시군구 단위 에너지소비통계는 조사 효율성 및 조사의 지속 가능성 등을 고려 시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작성하기 보다는 기존 에너지수급통계 및 타 기관 자료를 이용하거나 통계학적 추정 방법인 소지역 추정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방안을 연구 및 마련하는 것이 필요
○ 정책입안자 의견 수렴을 통한 조사내용 및 항목 개선
- 2020년까지의 에너지총조사에서는 데이터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조사내용 및 항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보다 실질적으로 정책 이행 및 평가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자(관련 부처 담당 공무원)로부터의 의견 수렴 및 반영 필요
○ 행정자료 및 타 기관 자료의 활용 및 연계
- 대면조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조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타 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구축하여 원시데이터 또는 상세 모집단 정보 수준에서의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이 필요부문별 개편 방향
○ 농림어업
- 농림어업에서의 공표 시차 단축을 위해서는 조사 준비 시기를 앞당기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타 통계(면세유 공급 통계, 석유류수급통계)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면세유 취급 주유소별 보고 결과 간 비교를 통해 원인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
○ 수송부문
- 친환경차량을 별도 조사함으로써 충분한 표본크기를 확보하여 데이터 활용도 및 정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상업공공 및 건물부문
- 상업공공의 경우 비대면조사 확대 및 시스템 고도화, 용도별 소비량 추정 방법 연구를 통해 응답률 및 정확성 제고가 가능
- 건물부문의 경우 에너지총조사 내에서 진행하기 보다는 별도 조사화함으로써 적정 표몬크기와 조사단가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조사의 정확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
4.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에너지 분야 조사통계 작성 현황
1. 해외 에너지소비조사 및 통계 작성 현황
1.1.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조사
1.2. 상업용 건물 에너지소비조사
1.3. 제조업 에너지소비조사
2. 국내 에너지소비조사 및 통계 작성 현황
2.1.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 실태조사
2.2. 가구에너지패널조사
2.3. 국가건물에너지통합DB
제3장 에너지총조사 문제점 및 한계
1. 농림어업
1.1. 표본크기 부족
1.2. 대면조사의 한계
1.3. 정책지원을 위한 상세 조사항목 부족
1.4. 공표시기 단축 필요
1.5. 정확성 부족
2. 건설업
2.1. 표본크기 부족
2.2. 대면조사의 한계
2.3. 정책지원을 위한 상세 조사항목 부족
2.4. 상세 모집단 정보 필요
2.5. 정확성 부족
3. 수송부문
3.1. 표본크기 부족
3.2. 대면조사의 한계
3.3. 정책지원을 위한 상세 조사항목 부족
3.4. 상세 모집단 정보 필요
3.5. 정확성 부족
4. 상업․공공 및 건물부문
4.1. 표본크기 부족
4.2. 대면조사의 어려움
4.3. 정책지원을 위한 상세 조사항목 부족
4.4. 건물부문의 낮은 조사단가
4.5. 공공부문 분리 필요
4.6. 정확성 부족
5. 소결
제4장 에너지총조사 개편 방향
1. 공통사항
1.1. 부문별 순환조사 추진
1.2. 표본크기 확대
1.3. 시군구 단위 통계 작성안 마련
1.4. 정책입안자․연구자 대상 조사항목 및 내용에 대한 의견 수렴
1.5. 행정자료 및 타 기관 자료 연계 및 활용
2. 농림업
2.1. 공표시기 단축
2.2. 에너지소비량 정확성 제고
3. 건설업
4. 수송부문
5. 상업․공공
5.1. 비대면조사 확대 및 시스템 고도화
5.2. 용도별 소비량 추정 방법 검토 및 정확도 제고
6. 건물부문
7.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