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2A study on introducing auction mechanism in renewable energy to complement RPS

신재생에너지 RPS제도 개선을 위한 경매제도 도입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이석호, 조상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형태사항
ⅵ ⅶ ⅵ 98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2
서지주기
참고문헌(p.95-98)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4858대출가능-
자료실P42485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485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485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신재생에너지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부상하였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도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2030년 발전비중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달성한다는 정부 목표를 발표하여 에너지 정책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이하 신재생에너지법)’을 통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촉진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원의 다양화,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의 감소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RPS는 당초 취지와 달리 수익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공급비용이 증가하고 제도의 복잡성으로 인해 시장 혼란이 발생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익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시장의 복잡성을 줄일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해외 주요국가에서는 경매제도 확대가 정책변화의 뚜렷한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2005년 경매제도 채택국가는 6개국이었으나, 2016년 말 최소 67개국이 시행 중이다. 독일과 같이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 Tariff; FiT)에서 경매제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국가뿐만 아니라 영국과 같이 RPS를 시행하던 국가도 경매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경매제도가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경쟁을 통해 도입비용을 하락시키는 한편, 수익의 안정성을 보장하여 공급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RPS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 방안으로 경매제도의 도입을 제안하고 국내 여건에 적합한 경매제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 RPS제도 현황 및 문제점 1.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제도 변화 및 RPS제도 현황 2. RPS제도 하에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문제점 3. 시사점 제3장 해외 경매제도 도입현황과 주요국 경매제도 특징 1. 경매제도 도입 현황 2. 주요국 경매제도 특징 3.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경매제도 도입 시 고려 사항 및 가격결정방식 1. 경매제도 도입 시 고려사항 2. 주요 고려사항에 대한 경매방식별 특징 및 장단점 비교 3. 가격결정방식별 장단점 비교 제5장 ABM을 통한 경매제도 가격결정방식 비교 1. 모형 설계 2. 모형 설계 결과 제6장 RPS제도 개선을 위한 경매안 및 도입 방안 제안 1. 경매제도 고려사항별 적정 경매방식 제안 2. 국내 시장환경을 고려한 가격결정방식 제안 3. 경매제도 이행 방안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