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5Impact of the Energy Transition on National Energy Security and Response Strategies

에너지 전환기의 국가 에너지안보 영향 분석과 대응전략

연구책임자
김태헌, 도현재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xii vii 142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5
서지주기
참고문헌(p.133-142)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280대출가능-
자료실P42628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28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28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화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기술발전과 세계적인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으로 청정에너지 비중이 크게 확대되며, 석유·가스의 수급구조 변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 - 세계 에너지시장 수급구조 변화와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에 따른 에너지안보 측면의 변화를 조사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에너지위기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정책제언 - 변화된 에너지수급 환경을 반영하여 대외적인 에너지안보 확보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비축, 도입선다변화, 해외자원개발 등 정책수단에 대해 평가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함. - 석유 비축의 효율성 제고 : 비축의 정책비용을 낮추기 위해 비축시설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 - 비용효과적인 해외자원개발 정책 추진 - 해외자원개발을 통한 물량 확대보다 지정학적 위기 대응 등 에너지안보를 확보하면서도 사업성의 경제성 확보 필요 - 산유국과의 협력을 통한 에너지안보 확보 - 지불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에너지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안보 정책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함. - 계통안정화를 통한 전력안보 확보 : 전력안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계통에서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부각되면서 현재 다양한 수단이 필요 - 동적 개념의 에너지안보 정책 포트폴리오 체계 마련 - 우리의 에너지안보 정책이 과거 공급력 확보 위주 정책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변화 필요 - 석유・가스 위기 분석 결과, 유형별 특징에 따라 단기 vs 장기 지속 유형, 예측 불가 vs 대비 가능 유형으로 구분 가능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전환의 에너지시장 영향 1. 에너지전환과 에너지수급 1.1. 에너지전환의 정의와 특징 1.2. 에너지전환과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 2. 세계 에너지시장의 새로운 변화 2.1. 전력 및 신재생 2.2. 석유 및 가스 3. 우리나라의 에너지수급 현황과 전망 제3장 에너지 위기요인의 유형 및 추이 분석 1. 석유 위기와 유형별 특성 1.1. 석유 위기의 유형 분류 1.2. 석유 위기의 유형별 검토 1.3. 석유 위기의 유형별 충격분포 도식화 2. 가스 위기와 유형별 특성 2.1. 가스 위기의 유형별 검토 2.2. 가스 위기의 유형별 충격분포 도식화 3. 전력 위기와 유형별 특성 3.1. 전력 위기의 유형별 검토 3.2. 전력 위기의 유형별 충격분포 도식화 제4장 에너지안보 정책 분석과 개선방향 1. 에너지위기 대응 정책 검토 1.1. 대외분야: 석유 및 가스 1.2. 국내분야: 전력 및 재생에너지 2. 에너지안보 가치의 정량적 평가 2.1. 석유 비축 및 자원개발의 가치 2.2. 천연가스 계약의 유연성 가치 3. 에너지전환기의 에너지안보 확보 방향 3.1. 석유·가스 안보 3.2. 전력 안보 제5장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1. 에너지전환에 따른 에너지안보 정책 방향 1.1. 에너지전환에 따른 에너지수급 구조의 변화 1.2. 에너지안보 정책에 대한 평가 1.3. 에너지안보 정책 방향 2. 에너지위기 대응에 대한 정책적 함의 2.1. 위기에 대한 시장 영향 변화 2.2. 에너지위기 대응체계에 대한 시사점 2.3. 가상위기에 대한 점검 및 대비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