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7Analysis on particulate matter policy effects in the power and transport sectors

발전 및 수송 부문 미세먼지 저감정책 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김수일, 강병욱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i, ix 15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7
서지주기
참고문헌(p.151-15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284대출가능-
자료실P42628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2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2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미세먼지 문제는 국민 삶의 질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로 부각됨. - 기후환경 정책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미세먼지 배출 분석을 위해서는 국가 온실가스 및 에너지 정책 수립을 위한 에너지 전망과 일관된 배출 전망이 필요함. - 수송과 발전 부문의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을 위한 모형을 구축함 - 수송과 발전 부문의 정책 수단이 미세먼지 배출 감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 □ 결론 및 시사점 - 본 연구는 수송 및 발전 부문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 모형을 구축하고 배출 저감 정책 시나리오 분석을 진행함. - 에너지 정책의 미세먼지 감축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한계를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음.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선행연구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1. 주요 선행 연구 1.2.2.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의 목적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미세먼지 현황 1. 미세먼지 2. 미세먼지 농도 추이 2.1. 미세먼지의 측정과 대기 오염도 2.2. 미세먼지 농도 추이 2.2.1. 전국 일평균 미세먼지 농도 추이 2.2.2. 지역별 일평균 미세먼지 농도 추이 3. 미세먼지 배출 추이 3.1. 미세먼지 배출량 3.1.1. 미세먼지 배출 집계 방법 3.1.2. 2017년 미세먼지 배출 현황 3.2. 수송 부문 배출량 3.2.1. 수송 부문 미세먼지 배출 3.2.2. 수송 부문 지역별 미세먼지 배출 3.2.3. 수송 부문의 배출 특징 3.3. 발전 부문 배출량 3.3.1. 발전 부문 미세먼지 배출 3.3.2. 발전 부문 지역별 미세먼지 배출 3.3.3. 발전 부문의 배출 특징 제3장 분석 모형 1. KEEI-EGMS 1.1. 모형의 기본 구조 1.2. 에너지 수요 전망 방법 1.3. 온실가스 배출 전망 방법 2. 수송 부문 에너지 수요 및 미세먼지 배출 전망 모형 2.1. 도로 부문 전망 방법 2.2. 자동차 연식별 생존 대수 추정 2.3.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 계수와 배출 전망 모형 3. 발전 부문 에너지 수요 및 미세먼지 배출 전망 모형 3.1. 발전 설비별 전망 방법 3.2. 발전소별 배출 계수 3.3. 발전소별 발전량과 미세먼지 배출 전망을 위한 기본 전제 제4장 수송 부문 시나리오 분석 결과 1.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기준 전망의 미세먼지 배출량 1.1. 기준 시나리오의 정의 1.2. 기준 시나리오 미세먼지 배출계수의 변화 1.3. 기준 시나리오 미세먼지 배출량 2. 시나리오별 미세먼지 배출 감축량 2.1. 비교 시나리오의 정의 2.1.1. 도로 부문 미세먼지 감축 주요 정책 2.1.2. 시나리오의 설계 2.2. 시나리오별 경유차 등록대수 및 미세먼지 배출계수 변화 2.3. 시나리오별 미세먼지 배출량 비교 제5장 발전 부문 시나리오 분석 결과 1.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기준 전망의 미세먼지 배출량 1.1. 기준 시나리오의 정의 1.2. 기준 시나리오 미세먼지 배출계수의 변화 1.3. 기준 시나리오 미세먼지 배출량 1.4. 기준 시나리오 지역별 미세먼지 배출량 2. 시나리오별 미세먼지 배출 감축량 2.1. 비교 시나리오 2.1.1. 시나리오의 정의 2.1.2. 비교 시나리오의 전기 수요 2.1.3. 비교 시나리오의 발전 설비 및 설비별 발전량 2.2. 시나리오별 미세먼지 배출계수의 변화 2.3. 미세먼지 배출량 시나리오 비교 2.4. 지역별 미세먼지 배출량 시나리오 비교 제6장 종합 및 시사점 1. 연구 결과 2.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