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4A Study on the Use of Big Data for Future Outlook of Power Industry

전력산업 미래 전망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박찬국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형태사항
ⅲ ⅳ ⅵ 121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4
서지주기
참고문헌(p.109-118)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4862대출가능-
자료실P42486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48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486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현재까지 전력산업 미래 전망은 주로 델파이, 시나리오 기법 등 전문가 견해를 집약하는 방법을 선택해왔으나, 방대한 데이터 생성 및 컴퓨팅 기술 발달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방법론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정량적으로 제공되는 전력산업 통계 자료는 전체 정보의 빙산의 일각이며, 대부분의 정보는 주로 텍스트 형태이다. 이에 전문가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뿐만 아니라 비정형화된 텍스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결국, 현존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극 활용하면서, 추가 개선 가능 영역을 발굴하여 미래 예측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최근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텍스트 기반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활용 및 개선 역량을 갖추고, 컴퓨팅과 전문가의 역량을 상호 결합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미래 전망에 있어 빅데이터의 일종인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경우 전력산업을 넘어 에너지산업 정보 분석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 형태의 전력산업 관련 언론정보를 바탕으로 미래에 중심 화두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신호를 제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매일 쌓여가는 텍스트 형태의 에너지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에너지정책 입안자, 연구자, 시장참여자들의 전력산업 통찰력(insight)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기존 전력산업 미래연구 분석 제1절 WEC의 에너지산업 이슈 분석 재검토 1. World Energy Issues Monitor(WEIM)의 개요 2. 에너지산업 주요 현안에 대한 인식 변화 제2절 다수 연구보고서 분석 1.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2. 시기별 상위 빈도 키워드 분석 3. 주요 키워드 연관어 분석 4. 주요 토픽 분석 제3장 전력산업 미래신호 분석 제1절 약신호 기반 미래신호 문헌 분석 1. 미래예측 방법으로서의 약신호 2. 약신호의 기원과 정의 3. 약신호 탐색벙법과 사례 4. 기존 약신호 탐색방법의 한계와 향후 방법 연구 제2절 미래신호탐색(FSD) 모형 제안과 신호 변화 분석 방법론 1. 기존 연구의 한계점 개선 필요 2. 미래신호탐색(Future Sign Detection, FSD) 모형 제안 3. 약신호에서 강신호로 전환될 가능성 분석 방법론 제3절 FSD 모형 기반 미래신호 변화 분석 결과 1. 약신호 관측지에서 강신호로 전환된 비중 2. 약신호의 강신호 전환 영향 변수 특징 고찰 3. 순차적 기반 적정 변수 조합 선정 4. 나이브베이즈 기반 약신호의 강신호 전환 예측 정확도 5. 전력산업 미래신호 탐색 6. 분류 알고리즘 기법별 예측력 평가 제4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의의 및 추후 과제 제2절 연구결과의 활용 참 고 문 헌 부록: 전력산업 미래 관련 보고서(48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