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45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4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4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4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화석연료 자원고갈과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탄소 에너지에 의해 수소에너지가 생산될 경우에는 온실가스 배출 문제도 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한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이행은 당면한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소에너지 도입에는 비용이 수반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수소경제로의 성공적인 이행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경제 이행에 대비한 기반구축 연구가 착실하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대안 개발을 목적으로 3개년(2009년~2011년)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수소경제 기반구축 연구이다. 이번 연구는 두 번째 단계인 2차년도(2010년) 연구이다.
1차년도(2009년) 연구에서는 수소에너지 도입이 에너지 수급과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2010년)에서는 수소에너지 도입이 국내 산업 및 경제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기간은 2005년부터 2050년으로 설정했다.
목차
제1장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장 장기 수소 수급 시나리오 설정
1. 수소수요 전망
2. 수소공급 전망
제3장 수소에너지 생산 및 사용 비용
1. 수소 에너지 생산 시스템 비용 분석
2. 수소 에너지 사용 시스템 비용 분석
제4장 분석모형 및 자료
1. 환경 CGE 분석모형
2. 분석자료
제5장 수소도입의 경제적 파급효과
1. 기준안 분석
2. 발전부문 수소도입의 효과
3. 수송부문 수소도입의 효과
4. 가계부문 수소도입의 효과
5. 수소도입의 전체 효과
제6장 결 론
1. 주요 분석 결과
2. 정책적 시사점
참 고 문 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