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8-12
미래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기반구축 연구 : 수소경제 이행의 최적경로 개발
- 연구책임자
- 부경진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 형태사항
- viii v vi 235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08-1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89-191)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849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84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84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84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주요연구내용>
시스템적 접근을 통한 수소경제 이행경로의 추적: 수소경제 이행시스템 분석, 이행경로 간 비교분석, 이행경로의 시스템적 접근 추진
수소경제로의 다양한 이행경로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수소제조 부문, 수소저장 부문, 수소의 이용 및 변환기술 부문
최적 수소공급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화 모형 개발: 수소공급시스템 최적화모형 벤치마킹, 수소 공급자원 가용성 분석
수소경제 분야별 최적 시스템 구축을 통한 비용효과적 수소경제 이행체제 구축
<기대효과>
비용효과적인 수소경제의 조기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시스템으로서 수소경제로의 이행촉진과 비용효과적인 수소공급 인프라의 구축에 기여
수소경제 시대 도래에 대비한 새로운 에너지공급체제의 청사진 마련
목차
Ⅰ.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 범위 및 방법론
3. 보고서 체제
Ⅱ. 수소경제에의 다양한 이행경로 평가
1. 수소경제 이행경로 평가의 목적
2. 부문별 경쟁관계의 기술
3. 시장 전망
4. 기술의 발전 및 보급 전망
Ⅲ. 해외 주요국의 수소경제 이행체제에 관한 연구 동향
1. 미국
2. EU
3. 일본
4. 아이슬란드
Ⅳ. 시스템적 접근을 통한 비용효과적 수소경제 이행경로의 추적
1. 수소경제 이행경로의 시스템적 접근
2.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 시나리오 분석
3. 수소경제 부문을 통합하는 이행경로의 시스템적 접근
V. 수소공급자원 잠재량 및 비용 분석
1. 개 요
2. 신재생에너지
3. 화석에너지
4. 원자력 및 기타 에너지
Ⅵ. 지역별 단계별 수소 수요량 산정
1. 부문별 수소 수요량 산정
2. 수소 수요·공급 시스템 구축 시나리오 설정
3. 부문별 수소 공급 시스템 구분
4. 수소 수요지의 선정
5. 지역별 공급형태별 수소 수요량 산정
6. 지역별 집중형 수소 수요량 산정
Ⅶ. 비용효과적 수소공급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화 모형개발
1. 수소공급시스템 최적화
2. LINGO 프로그램
3. 입력 자료
4. 분석 결과
Ⅷ. 종합 결론 및 정책 건의
1. 주요 발견 사항
2. 정책건의
3.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1. 국내 문헌
2. 해외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