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8-05-04
기후변화협약 대응 국가온실가스 IPCC 신규 가이드라인 적용을 위한 기획연구 : 산업공정 및 제품사용
- 연구책임자
- 김찬규
- 연구참여자
- 도승희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 형태사항
- ii ii vi 162 p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8-05-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852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853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852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853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6 가이드라인 산업공정 및 제품사용(IPPU) 부문에서의 배출원별 공정 특성 및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을 분석하고, 1996 IPCC Guidelines와 비교하여 향후 산업공정 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안 등에 대해 고찰해 본다.
2. 주요 연구 내용
2006 가이드라인 산업공정 및 제품사용(IPPU)에서의 배출원별 특성, 공정도, 수준별(Tier 1, Tier 2, Tier 3)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1996 가이드라인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 온실가스배출량 산정 시 문제점 및 대응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3. 연구 결과 및 정책 제언
2006 가이드라인의 산업공정 및 제품사용(IPPU)부문을 1996 IPCC Guidelines와 비교해 볼때 ’산업 공정(Industrial Processes)’과 ‘용제와 다른 제품사용’ 부문을 통합하였으며 분야별로 주요 변화와 개선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2006 IPCC Guidelines 은 에너지 부문과 산업 공정 부문에서 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의 할당에 대해 실질적인 지침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 점은 1996 가이드라인에서 분명하지 않았던 것 이다.
둘째로 이 가이드라인은 배출은 그것이 일어나는 산업분야에서 보고되어야 한다는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이 보고되는 배출원 카테고리에 변화가 있었다. 특히 석회석(Limestone)과 백운석(Dolomite), 기타 탄산염(Carbonates)의 사용에 있어서의 변화가 대표적이다.
2006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높은 수준(Tier)의 산업공정부문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공급통계 뿐만이 아닌 실제 소비단계에서의 Tier 2, Tier 3 수준의 Activity data 확보 및 국가 고유 배출계수 개 발이 시급하다. 또한 향후 2006 가이드라인의 국내 적용을 위하여 산업공정 부문별 연구회를 운영하는 등 배출원 분석 및 자료수집에서의 공조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광물산업
1. 시멘트 생산
2. 석회 생산
제3장 화학산업 배출
1. 암모니아 생산
2. 질산 생산
3. 아디핀산 생산
4. 석유화학 제품과 카본 블랙 생산
5. 불소화합물 생산
제4장 금속산업 배출(철강생산)
1. 야금용 코크스 생산(Metallurgical Coke Production)
2. 소결물 생산(Sinter Production)
3. 펠렛 생산(Pellet Production)
4.제철과 코크스의 역할(Iron Making and Role of Coke)
5.제강(Steelmaking)
제5장 연료로부터 비에너지 제품 및 용매 사용(윤활제)
1. Tier 1 방법
2. Tier 2 방법
제6장 기타 산업
1. 전자사업 매출
2. 오존충 파괴물질에 대한 불소화대체물질의 배출(냉동과 냉방)
3. 기타 제품 제조 및 사용(전기 설비로부터 SF6 및 PFCs의 배출)
제7장 연구 결과 및 정책 제언
1. 연구 결과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