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997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997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997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99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기존의 녹색성장 산업 협의체의 활동을 강화하여 특화분야별 수출확대 전략 제시
○ 특화분야별로 정부 관련부처와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수출산업화 WG(Working Group) 구성
- 주무부처인 지경부를 중심으로 관련부처가 유기적으로 협력
- 기업체 규모 및 분야의 다양성을 확보한 WG 구성
○ 특화분야별로 기업친화적 수출산업화 전략 수립
- 국내 산업역량 및 파급효과, 세계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수출산업화 전략 수립
- 시스템업체-부품소재업체, 대기업-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마련
- M&A 등을 통한 대형화 및 Spin-off 지원 전략 수립
□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R&D 투자,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
○ 신·재생에너지 R&D 지원을 고용촉진, 대기업-중소기업간 네트워크 활성화, 국제 공동 R&D 지원 등으로 개선 확대
○ 국책은행의 해외 M&A지원 및 금융컨설팅을 강화하고 수출관련 금융상품에 대한 금융 및 조세지원방안 마련
□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화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실시
○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민간기업체의 국제표준화 활동 전문가 양성과 배출이 절실
○ 신·재생에너지 분야별로 국제표준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컨텐츠, 기업참여 프로그램 개발
□ 아시아-태평양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화 협력체 창설 제안
○ 지역블록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국제표준화 공동 대응
-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등)의 정부대표기구 참가, 기업?연구소, 대학 등 민간주도 운영
- 국제표준화 이슈에 대한 정보교환 및 발굴, 국제표준 공동제안
- 유럽과 북미 중심의 국제표준화 추세에 대응
○ 국제표준화 회의 유치 및 국제표준개발 공동연구 추진
5)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조사역량 강화
○ KOTRA 등 전문성을 갖춘 정부기구를 활용하여 해외시장 및 기술동향, 각종 전시회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요 조사를 지속하여 유기적이고 시의성있는 정보 제공
목차
Ⅰ. 요약 및 시사점
1. 개요
2. 시사점
Ⅱ.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미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2.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3. 일본 신재생에너지 정책
4. 캐나다 재생에너지 정책
5. 호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6. 덴마크 신재생에너지 정책
Ⅲ.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 및 기술과 개발전략
1. 중국의 그린에너지(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2. 중국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정책
3. 중국의 그린테크놀로지 기술개발 현황
4. 중국의 그린테크놀로지 산업육성 방안
5. 중국의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 현황 및 전략
6.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Ⅳ. 일본의 그린에너지산업 현황 및 기술과 개발 전략
1. 개요
2. 그린에너지산업 육성 방향
3. 일본의 그린 에너지기술별 산업현황과 로드맵
Ⅴ.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육성, 기술개발 전략
1.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및 기술 현황
2.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3. 9대 그린에너지 기술 기술개발 및 시장창출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