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1-02

북극해 항로개발의 자원개발 및 에너지 안보적 시사점

연구책임자
김남일
연구참여자
이현주, 정육상, 이춘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iviiiiv77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1-02
서지주기
참고문헌 (p.73-7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45대출가능-
자료실P42134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4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4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북극지역은 냉전시기에 주로 군사기지로 활용되었으나 냉전이 종식된 이후 오랫동안 관심을 끌지 못하는 오지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향후 30~50년 후에는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항로가 연중 개통되어 시간·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란 전망과 함께 대규모 석유·가스 탐사자원이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연안국뿐만 아니라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극지역은 연안국들에 의한 주권확보 및 자원개발과 항로 선점을 위한 그야말로 총성 없는 전쟁이 진행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자원을 둘러싼 경쟁은 미래 에너지 확보전쟁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더욱 심화될 경우에 군사적 충돌은 물론 신냉전 국면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북극해 항로의 개발은 에너지 자원의 97%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석유의 경우, 2011년 기준 한국의 대중동 석유 의존도는 81%에 이른다. 중동지역에서 한국까지 약 12,000km에 달하는 석유수송로는 문자 그대로 한국 경제의 생명선이라 할 수 있다. 북극항로가 서서히 열려가는 상황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 및 북극해와 접하고 있는 국가들은 모두 새로운 국제정치 환경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아울러 북극지역 방대한 자원의 개발을 위한 국가간, 지역간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극해 항로 개발에 대한 연안국의 군사안보전략과 자원개발 및 물류비용 측면에서의 상업적 효과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북극해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북극지역 수송여건 변화 및 자원개발의 잠재력 1. 북극지역 수송여건 변화 2. 자원개발의 잠재력 및 추진현황 제3장 북극해 연안국간 분쟁 및 군사안보전략 1. 자원 및 항로와 관련된 분쟁 2. 북극해 연안국의 군사안보전략 제4장 북극항로 및 자원개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 1. 북극항로를 통한 물류수송 2. 북극지역 자원개발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미리보기

북극해 항로개발의 자원개발 및 에너지 안보적 시사점.pdfPDF

첨부
번호제목유형
1북극해 항로개발의 자원개발 및 에너지 안보적 시사점.pdfPDF3.4 MB
  • 1북극해 항로개발의 자원개발 및 에너지 안보적 시사점.pdfPDF3.4 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