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3
기술경제분석을 통한 미래에너지 시스템 구축전망: 기술경제 통합에너지 전망 모형 구축
- 연구책임자
- 안지운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viiiixvi15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3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33-13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34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3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3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3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미래에는 매우 다양한 에너지원 및 이용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특성을 가진 기술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시스템의 미래를 전망할 때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술적ㆍ경제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술 측면에서의 경제성에 대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기술?경제 통합적인 관점에서 미래 에너지시스템의 상황을 전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정책적 목표를 설정하기에 앞서 보다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계량경제 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한 부분균형 분석은 이에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년간의 연구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해외 동향 및 사례 조사, 분석모형 발굴 및 구축, 모형 보완 및 실제 적용을 통한 전망 연구를 3개년에 걸쳐 추진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2차년도 기본 모형에 대해 추가로 이론적인 검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개선하고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정책 효과를 분석해 보고 실제 모형의 구동을 검증하고 향후 활용가능성 및 확장 가능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미래 에너지전망은 에너지 관련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전제되어야 할 필수 전제 요건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특히 미래에는 매우 다양한 에너지원 및 이용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술적인 특성 자체도 시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거나 새로운 특성을 가진 기술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시스템의 미래를 전망할 때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시스템은 대외 의존적인 에너지수급구조로 인해 외부적 충격에 매우 취약한데다 녹색성장 등 새로운 정책적 방향의 제시는 불확실성을 더욱 크게 만들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망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특히 기술적ㆍ경제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술 측면에서의 경제성에 대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기술?경제 통합적인 관점에서 미래 에너지시스템의 상황을 전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미시경제학적 측면에 기반한 연산가능일반균형모델(CGE)이나 선형계획최적화에 기반한 마칼(MARKAL) 모형들이 이를 다루고 있으나 많은 전제조건 및 자료가 필요하여 가장 근본적인 단계에서의 청사진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세부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이들 방법론들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거시적인 측면에서 청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시경제적 측면의 구조적 관계에 기반한 시스템의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며, 에너지, 환경 등과 결합하여 분석가능한 방법론으로서 계량경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부분균형모델을 선택하였다. 특히 시스템차원의 분석의 경우 에너지와 경제, 환경시스템 간의 상호연관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부경진 외, 2002), 모형의 자의성을 가급적 피하기 위해 외생적인 가정을 최소화하고 각 값들이 가능한 한 내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하위 시스템 간, 시스템 내 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에너지와 경제 요소들을 상호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에너지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분석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1차년도에 우선 국내외 미래전망 방법론들을 파악하고 선진국의 시스템을 조사하여 기존의 방법론들의 특징 및 장단점들을 파악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안지운, 2009). 이를 통해 기반이 될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하고 이를 개선하여 새로운 통합모형을 구축하며, 구축된 통합모형을 통해 미래 에너지원들의 소비 및 공급패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2차년도에는 기본 모형의 구축 및 계량경제학적 검증을 실시하고 시험적인 모형의 구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안지운, 2010).
이러한 방법론의 개발 및 모형 구축은 기술 및 경제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에너지시스템에 대한 조망을 통해 기술적 요소, 시장요소 등을 포괄적으로 모형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향후 파급효과 분석 및 정책효과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 정책의 보완점 및 향후 개선방향 제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개년에 걸쳐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금년도는 그 중 3차년도로서, 1차년도의 모형 설정을 위한 기반 구축 연구 및 2차년도 기본 모형의 구축 후 모형의 보완 및 이론적 검증,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대상
3. 연구 추진 방법
4. 보고서 체계
제2장 선행연구
1. 1차년도 연구내용
2. 2차년도 연구내용
3. 거시경제계량모형 관련 선행연구
4. 시사점
제3장 자료 확보 및 분석
1. 분석 자료
2. 시계열 분석
제4장 모형 구축
1. 모형 개요
2. 모형의 구조
제5장 모형의 추정
1. 추정방법
2. 공적분 검정
3. 예측력 검토
4. 의태(Backward forecasting)분석
제6장 시뮬레이션 분석
1. 외생변수 가정
2. 환경변화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3. 정책변화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제7장 결론
1. 연구성과
2. 분석결과 검토
3. 연구의 한계
4. 향후 활용가능성 검토
참고문헌
부록 Ⅰ
부록 Ⅱ
부록 Ⅲ
부록 Ⅳ
부록 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