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0

자원개발 기반산업 육성 방안

연구책임자
정우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x xii vii 151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0
서지주기
참고문헌 (p.144-145)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71대출가능-
자료실P42217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지난 수년간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투자 규모는 매우 크게 증가했다. 그렇지만 자원개발의 기반산업은 여전히 낙후된 수준에 있다. 자원개발 사업을 추진할 때 프로젝트 발굴부터 사업평가, 매장량 분석 등 사업의 거의 모든 과정을 해외 서비스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자원개발 투자가 증가될수록 막대한 외화가 해외 서비스기업에 지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우리 기업의 중요한 경영판단을 전적으로 해외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인력의 부족, 기술 및 경험 부족으로 국내에서는 자원개발 기반산업인 자원개발 서비스분야가 「산업」으로 발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 때문에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이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생성된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많은 자원부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자원개발 서비스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개발의 기반 산업인 서비스기업들이 국내에서 성장하지 못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들을 제안하였다. 또, 이 과정에서 해외의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분류체계와 서비스기업의 현황 및 주요 기업들의 경영전략들도 알아본다. 한편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탐사 단계에서부터 개발, 생산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초기자본이 소요되는 자본 집약적 산업이다. 따라서 자원개발 기반산업으로 금융부문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쟁국에 비해 자원개발 산업이 뒤쳐진 것 뿐만 아니라 금융산업 또한 선진국에 비해서는 낙후된 상태이다. 자원개발 투자는 금융부문이 활발하게 운용되지 않으면 투자가 확대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자본을 자원개발 부문으로 유인하는 다각적인 금융방안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지원 방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개념과 분류체계 1.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개념과 위상 2. 자원개발 서비스산업 육성의 필요성 3.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분류체계 제3장 세계 자원개발 서비스 산업현황과 기업의 경영전략 분석 1. 자원개발 서비스시장의 특징 및 최근 동향 2. 주요국의 자원개발 서비스산업 육성 및 지원방향 3. 주요 자원개발 서비스기업의 경영전략 사례 제4장 국내 자원개발 서비스 기업 현황과 과제 1. 우리나라 자원개발 산업발전 현황 2. 국내 자원개발 서비스 기업의 현황 3.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발전 과제 4. 유전개발 서비스 수요조사를 통한 서비스 시장 분석 제5장 국내 자원개발 기술 수준과 기술서비스 사업화 방안 1. 국내 자원개발 기술수준 및 발전 가능성 2. 유망 자원개발 서비스기술의 사업화 촉진 방안 3. 셰일가스의 기술서비스 산업화 방안 제6장 자원개발 서비스기업의 육성 및 제도 수립방안 1. 자원개발 서비스 기업 육성을 위한 법체계 현안 2. 기술과 사업서비스의 이원적 육성 방안 3. 서비스 산업의 수요 창출방안 4. 공기업 업무 분사 및 기술서비스의 기업화 5. 인증제도 추진 6. 자원개발 서비스센터의 운영 제7장 자원개발 기업의 육성을 위한 금융 활성화 1. 자원개발 금융 개요 2. 공적금융기관을 통한 해외자원개발 자금 지원현황 3. 해외자원개발 공적 금융지원 개선 방안 제8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 유전개발 서비스 기업 수요조사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