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3011-17
원자력발전의 신규 원전건설 투자재원 확보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이근대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vvvi95p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30 11-17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94-9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30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3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3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3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08년도 이명박정부가 취임한 이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주요 국정 비전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정부의 강력한 녹색성장 정책 추진은 원전 비중의 증가를 수반하고 있다. 여기에는 막대한 자본 투자를 요구되는데 대규모의 자본 집약적 성격과 더불어 장기간 시간이 소요되는 원전사업의 특성상 다른 산업에 비해 재원 조달은 난제이다.
정부의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한수원은 2022년까지 14기의 원자로를 신규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투입되는 예산의 규모는 총 49조원이고, 그 중 원전 건설에 소요되는 재원은 33조원이다. 따라서 이 계획이 원안대로 추진된다면 향후 우리나라의 원전 건설에는 대규모 재원 조달이 새로운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의 글로벌 동향을 고찰하고, 원자력 산업의 향후 전개 방향을 조망하고자 한다. 또한 원전 비중 확대에 따른 재원조달 필요성을 확인한 이후 원전건설을 추진함에 있어 필수적인 재원조달방안과 이슈들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원전 사업 추진에서의 정부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살펴 보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원전 국제동향과 특성
1. 원자력 산업 동향
2.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 동향
3.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동향
4. 원전 건설 투자의 성격
제3장 원전 재원 조달 방식
1. 한국 원전 재원 조달의 역사
2. 원전 재원 조달 방식 분류
제4장 기업공개와 프로젝트 금융
1. 기업공개
2. 원자력 기업의 기업공개
3. 한수원의 기업공개에 대한 고려 사항
4. 기업공개의 현실적 조건
5. 프로젝트 금융
제5장 원전건설 재원조달 방안
1. 원전 건설비용 추정
2. 원전 건설 재원조달 방안
제6장 결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