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3
북극지역 자원개발 현황 및 전망
- 연구책임자
- 이성규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90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53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53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5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5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지역 자원 개발 및 수송 여건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러시아, 노르웨이, 덴마크, 미국, 캐나다 등 북극해 연안국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북극지역 자원개발과 인프라 건설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또한 북극해 연안국들은 북극지역을 자국의 미래 전략적 자원 공급지역으로 지정하고, 북극지역 경제?에너지 개발 프로그램을 제정하였다.
더군다나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 항해기간이 기간이 길어지고, 새로운 수송로가 발견되면서 북극항로를 통한 석유 가스 수송 가능성도 크게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러시아 북극지역에서 블라디보스톡까지 이어지는 북동항로의 상업적 이용은 북극지역에서 생산되는 대규모 석유 가스 물량의 대 동북아지역 공급도 충분히 경제성을 갖게 할 것이다.
향후 북극지역 석유 가스의 대 동북아 지역 공급과 우리나라 기업들의 자원 개발사업 참여 및 북극해 관련 선박 해양플랜트 수출 증대가 예상 되는 바, 북극지역 자원 개발 현황과 연안국들의 북극지역 개발 전략, 그리고 최근 기후 온난화에 따른 자원 개발 및 수송 여건 변화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북극지역 자원 개발 및 수송망 현황 3
1. 북극지역 자원 부존 및 개발 현황 3
2. 연안국별 자원개발 사업 및 수송망 현황 11
제3장 북극해 연안국의 북극지역 개발 전략 29
1. 연안국의 북극지역 개발 전략 29
2. EU 및 북극이사회의 북극지역 정책 46
제4장 북극지역 자원개발 및 수송 여건변화 51
1. 북극지역 자원개발 필요성 증대 51
2. 자원개발 여건 변화 53
3. 파이프라인 수송 여건 변화 56
4. 북극해 해상 수송 여건 변화 59
제5장 북극지역 자원 개발관련 현안 과제 65
1. 북극해 영유권 분쟁 65
2. 환경보호 규제 73
3. 탐사?개발, 수송관련 기술개발 76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81
1. 결론 81
2. 시사점 82
참고문헌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