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8
그린에너지 수출산업화 전략 연구: 그린에너지산업 육성전략 연구기술 사업화를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 이승문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xi vii x 206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8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00-20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18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18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18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18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그린에너지 기술 혁신과 사업화의 활성화를 통하여 에너지기술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에너지기술 수출향상과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시장선점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린에너지 기술 혁신과 사업화는 미래 저탄소 사회에 대비한 에너지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미래 세계적 에너지 환경에서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는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의 그린에너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린에너지 기술 혁신과 사업화가 필요하다. 혁신과 사업화가 창출되는 과정은 선형프로세스가 아닌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복잡하고 동적인 현상이다. 그러므로 에너지기술의 혁신과 사업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생태계적 관점이 필요하다. 기업생태계란 상호작용하는 조직체들의 확장된 체계로서, 상호작용하는 개인과 조직에 의해 구성된 경제적 공동체(economic community), 즉 유기적 비즈니스 체계(organisms of the business world)로 정의된다.
기업생태계 내 구성원들은 서로 경쟁하면서 협동을 통한 상호작용을 한다. 각 구성원은 상호의존적이며, 이는 모든 구성원이 생태계와 공동운명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 또한, 경쟁, 협력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은 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dynamics)를 예측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환경을 가진 기업생태계에서 각 기업은 지각(conscious) 있는 선택을 통해서 기술 혁신과 사업화를 이루려고 노력한다.
본 보고서는 그린에너지 기술 중 태양광과 풍력의 기업생태계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본 후, 그에 따른 기업생태계적 정책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업생태계적 관점의 정책 방안은 미시적이고 직접적인 기존의 지원을 할 수 있는 자원과 제도들이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윤활유 또는 보완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고찰
제2장 그린에너지 시장 및 기술 동향
1. 세계 그린에너지 시장 동향
2. 그린에너지 투자 동향
3. 국내 그린에너지 수출 동향
4. 국외 그린에너지 기술 현황
5. 국내 그린에너지 기술 현황
제3장 국외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지원제도 현황
1. 에너지 기술의 특징과 정부의 역할
2. 국외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지원제도
제4장 국내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지원제도 현황 및 문제점 분석
1. 그린에너지 기업생태계
2. 기업생태계에 기반한 국내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지원제도 분석
제5장 정책 제언 및 전산실험
1. 정책 제언
2. 전산실험(Simulation)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