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87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87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87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8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가 수입물량을 확보해야 하는 국제 유연탄 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겪어 왔으며, 향후에도 급격히 변화할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2000년대 초반까지는 호주에 이어 세계 2위의 석탄 수출국이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의 수입국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변화를 보완한 국가가 인도네시아이다. 인도네시아는 2011년 호주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석탄 수출국으로 부상하였으며, 향후에도 상당기간 국제시장에서 주요한 석탄 공급국의 위치를 점유할 전망이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국내 석탄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에도 인도네시아의 석탄수출이 과거와 같이 증가하길 기대하기는 곤란하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국내 석탄수요 충족을 위해 생산된 석탄의 국내 공급비율을 2019년 6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는 점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수출량이 감소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석탄수출이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일 경우 세계 석탄시장은 구조적 변화를 겪게 될 것이며, 이에 따른 석탄 수입선 변화 또는 수급차질에 대비하는 것이 긴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수출국의 여건 및 정책에 부합하는 우리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의 석탄수입 전략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주요 석탄 수출국의 수출 잠재력 및 정책을 분석하여 석탄수출 전망 및 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수출국 여건 및 정책 변화에 부응하는 우리나라의 수입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우리나라 석탄수급 현황 및 정책 5
1. 석탄 수급추이 및 현황 5
2. 석탄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적 변화 12
제3장 국제 석탄시장의 동향 및 전망 15
1. 세계 석탄시장 변화의 주요 요인 분석 15
2. 최근의 글로벌 연료탄 시장 여건 22
3. 국제 석탄시장 전망 29
제4장 주요국의 석탄수출 잠재력 41
1. 분석방법 개요 41
2. 호주의 석탄수출 잠재력 42
3. 인도네시아의 석탄수출 잠재력 53
4. 러시아의 석탄수출 잠재력 62
5. 몽골의 석탄수출 잠재력 70
6. 모잠비크의 석탄수출 잠재력 79
7. 남아공의 석탄수출 잠재력 86
8. 콜롬비아의 석탄수출 잠재력 95
9. 미국의 석탄수출 잠재력 103
9. 캐나다의 석탄수출 잠재력 111
제5장 주요국의 석탄정책 및 수출전략 119
1. 석탄정책 119
2. 수출전략 134
제6장 대응방안의 모색 145
1. 주요국의 석탄수출 잠재력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145
2. 국내외 석탄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151
3. 석탄가격 변동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155
제7장 결언 및 시사점 159
참고문헌 및 자료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