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1
에너지 효율 리바운드 효과와 온실가스 감축
- 연구책임자
- 이상준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v iv iv 71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69-71)수록
- 키워드
-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효율, 리바운드 효과, 소비자 선택 모형,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86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86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86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8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에너지 효율 개선의 리바운드 효과가 일어나는 미시적 채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 정량적 분석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고효율 제품의 보급과 관련된 모형을 부가하여 리바운드 효과의 논의를 확장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였지만 리바운드 효과에 대한 정치한 모형보다는 실증분석의 사례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리바운드 효과에 대한 미시경제 모형을 통해 리바운드 효과의 채널에 대한 명확한 배경을 탐구하고 정책적으로도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동 분석을 바탕으로 실증분석 사례를 제시하여 리바운드 효과의 크기를 재검토할 것이다. 리바운드 효과 분석을 위한 다양한 사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승용차 또는 친환경 승용차의 보급과 관련된 정책을 중심으로 실증 예를 다룰 것이다. 특히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평균연비제도, Coporate Average Fuel Economy)를 사례로 리바운드 효과를 반영하여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효율 개선의 필요성과 리바운드 효과 7
1. 에너지 효율 개선의 필요성 7
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추이 7
나. 에너지 소비와 에너지 효율 추이 10
다. 에너지 효율 개선의 필요성 13
2. 에너지 효율 개선에 따른 리바운드 효과 17
가. 리바운드(rebound) 효과 17
나. 리바운드(rebound)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19
제3장 에너지 효율 리바운드 효과의 모형 23
1. 미시적 리바운드 효과의 모형 23
가. 모형의 기본 가정 23
나. 리바운드 효과의 채널 25
2. 소비자 선택 모형: 고효율 상품에 대한 투자 30
가. 모형의 설정 30
나. 모형의 분석 34
제4장 리바운드 효과의 실증 사례 41
1.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를 통한 리바운드 효과의 계측 41
가.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 개관 41
나.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하에서 리바운드 효과 44
2. 소비자의 선택행위 분석 54
가. 고연비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54
나. 비교정태 분석 58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63
1.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63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5
참고문헌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