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9

ICT발전의 산업별 전력수요 영향 분석

연구책임자
박우영, 김지효
연구참여자
최봉석, 오경수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형태사항
iv iv v 127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9
서지주기
참고문헌(p.97-101)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879대출가능-
자료실P42388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8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88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산업 에너지원으로서 전력의 편의성과 에너지 변환가능성 등 장점이 더욱 부각되면서 산업별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화 현상(electrification)이 나타나고 있다. 전기・전자기술의 발달, 특히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혁신과 이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가 급격한 전력수요 증가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ICT 혁신은 비물질화(dematerialization), 효율(efficiency) 향상 등을 촉진하여 설비 효율성을 향상시켜 단위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소비량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 향상은 산업 전력수요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반등효과(rebound effect)로 인해 효율성 향상의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효율 향상을 비롯한 생산성 향상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총생산 증가로 인해 전력수요가 증가하는 피드백효과(feedback effect)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 ICT 혁신은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산업구조 변화를 통한 에너지소비 구조의 변화도 간과할 수 없다. 이렇듯 ICT 혁신에 따른 전력수요 변화는 여러 요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상・하방 압력으로부터 귀결되므로, 그 변화 추세를 쉽사리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ICT 혁신이 산업 에너지・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전술한 요인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동태적으로 고려해야만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ICT 혁신이 산업 에너지・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多부문 동태적 확률적 일반균형(multisector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ultisector DSGE) 모형을 구축・추정하여 ICT 혁신이 에너지・전력 수요, 더 나아가 산업별 생산과 거시경제 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수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문헌연구 5 1. ICT 혁신과 전력화 5 2. ICT 혁신과 에너지효율성 7 3. ICT 혁신과 거시경제 9 4. ICT 혁신과 전력수요 간 관계의 체계화 12 제3장 ICT 혁신과 산업 에너지소비 17 1. ICT 혁신과 에너지수요 현황 17 가. ICT 확산과 에너지소비 17 나. ICT 확산과 에너지원단위 24 다. 산업별 부가가치 및 에너지소비 구조 32 라. 소결 39 2. 제조업의 에너지원단위와 전력원단위 분해분석 41 가. LMDI 분석 개요 41 나. LMDI 분석 결과 45 제4장 모형 설정 및 추정 49 1. 모형 49 가. 가계(Households) 49 나. 기업(Firms) 53 다. 시장청산조건 및 외생적 확률충격 58 라. 산업별 자본투자수요와 전력수요 60 마. 안정 시스템(stationary system)으로 변환 64 2. 모수 추정 67 가. 관측자료 67 나. 추정 결과 71 제5장 연구결과 77 1. 충격반응함수 분석 77 가. 비ICT산업의 생산성충격 77 나. ICT산업의 생산성충격 79 다. 전력산업의 생산성충격 81 라. 에너지공급 충격 83 2. 역사적 외생충격 추정 분석 84 가. 외생충격 추정치를 이용한 주요 변수의 재구성 84 나. 반사실적 실험과 외생충격의 역할 86 3. 예측오차 분해분석 89 4. 시사점 91 제6장 결론 93 참고문헌 97 <부록 1> ICT 혁신과 에너지수요 현황 분석자료 103 <부록 2> LMDI 분해분석 결과 107 <부록 3> 안정시계열로 변환된 모형 경제 111 <부록 4> 생산함수 모수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