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1European Green Deal: Concept, Conflicts and Implications to Korea

유럽 그린딜의 동향과 시사점

연구책임자
김수현, 김창훈
연구참여자
김수린, 김민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 vii v 124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1
서지주기
참고문헌(p.95-115)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089대출가능-
자료실P42609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0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09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2019년 12월 11일, EU 집행위원회는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이하 ‘그린딜’)’을 발표했다. 그린딜은 2050년 기후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사회 전 분야를 전환하기 위한 정책패키지이다. 그린딜 발표 이후 후속 정책이 잇따라 발표되었는데, 2020년 1월에는 그린딜 추진을 위한 자금지원 방안인 ‘유럽 그린딜 투자계획(European Green Deal Investment Plan)’이 공개됐고, 3월에는 그린딜의 법적 기반인 ‘기후법(안)(European Climate Law)’이 마련됐다. 2020년 1월에 열린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는 폰데어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EU 집행위원장이 그린딜의 주요 사안 중 하나인 탄소국경세 도입 의지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처럼 유럽에서는 그린딜 관련 정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국내 정보는 일부 보고서와 언론보도에 그쳐, 그린딜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제공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그린딜은 다자간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이며 기존 제도와 복잡한 관계로 얽혀 있기 때문에, 그린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EU의 입법과정과 정책결정과정 등 EU 제도에 관한 배경 지식도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 말까지 EU에서 공식발표한 사안을 중심으로 그린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그린딜과 기후법(안)에 대해 해설하고(제2장), 둘째, 그린딜 자금지원 계획인 유럽 그린딜 투자계획을 설명하며(제3장), 셋째, 탄소국경조정에 대해 조명한다(제4장).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토대로 하며, EU 공식문서와 집행위원회 보도자료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언론보도를 모니터링하여 관련 평가와 전망을 담는다. 마지막으로, 논문, 보고서, 단행본 등을 참고해 상기 자료로 부족한 학술적 논의를 보완한다. 이로써 그린딜에 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며, 해설과 각주를 통한 보충설명을 통해 그린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 목적 4.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 제2장 유럽 그린딜과 기후법(안) 1. 유럽 그린딜 1.1. 개요 1.2. 주요 내용 1.3. 쟁점 1.4. COVID-19 확산 이후 조정된 사안 2. 유럽 기후법(안) 2.1. 개요 및 주요 내용 2.2. 입법 형태 2.3. 평가 제3장 유럽 그린딜 투자계획 1. 목적 및 배경 2. 주요 내용 2.1. 재정 지원 2.2. 민간・공공부문 투자 프레임워크 2.3.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2.4. 유럽투자은행의 역할 3. 지속가능금융 분류체계와의 관계 3.1. 지속가능금융 분류체계 3.2. 분류체계의 주요 내용과 의의 3.3. 그린딜 및 분류체계의 원자력 포함 여부 4. 유럽회복계획의 유럽 그린딜 자금지원 제4장 유럽 그린딜의 탄소국경조정 1. 논의 배경 2. 경과 2.1. 탄소국경조정의 유형 2.2. 도입의 필요성 2.3. EU의 탄소국경조정 시도 3. 법적 난관 3.1. 탄소국경세 3.2. 배출권 제출의무 4. 국가별 반응 4.1. 역내국 4.2. 무역상대국 제5장 결 론 1. 연구의 의의 2. 주요 내용 요약 3.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유럽 기후법(안) 번역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