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06

다중 계절성 지수평활법을 활용한 국내 단기 전력수요 예측

연구책임자
김철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7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06
서지주기
참고문헌(p.71-76)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17대출가능-
자료실P42281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우리나라는 전력수급의 불균형으로 정확한 전력수요 예측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전력수요의 예측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력운영자는 항상 최신 수요예측 기법을 검토해야 한다. 지수평활법은 단순한 모형 대비 높은 예측력으로 전력수요를 포함한 수많은 시계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2011년 순환정전사태 이후 전력거래소에서 개발된 단기 전력 수요 예측 모형(KSLF)에서도 지수평활법은 인공지능형방식과 함께 전력수요예측에 사용되어오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지수평활법은 복수의 주기성을 고려할 수 있는 보다 복잡한 형태로 발전되어 오고 있는데 이러한 최신 다중 계절성 지수평활법의 활용은 국내 전력수요예측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신 지수평활모형을 소개하고 이를 국내 시간별 전력수요에 적용한 단기(1주) 전력수요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ETS 모형 및 다중 계절성 지수평활법은 기온 등의 외부 환경 변수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모형의 실제 활용측면에서는 실시간 예측이나 몇 시간 이내의 초단기 전력수요 예측에 보다 적합하다 할 수 있다. 위의 모형이 기존의 전력수요예측모형에서 이용되고 있는 지수평활법 대비 가지는 장점 중의 하나는 모형이 상태공간모형화하여 추정되기 때문에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예측신뢰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향식 예측은 기존의 장기 일평균, 일피크 부하 예측 모형과 결합 시 장기(15~20년) “시간별” 전력수요모형의 개발도 가능해 전력시장 시뮬레이터 M-CORE와 같은 프로그램의 입력(Input) 데이터 추정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수평활모형을 활용한 전력수요예측 1. 전력수요의 결정요인 2. 단기 전력수요 예측 방법론 3. 지수평활모형의 발전 개요 및 선행연구 제3장 지수평활모형의 구분 1. 전통적인 지수평활모형의 구분 가. 단순지수평활모형 나. Holt(선형) 모형 다. Holt-Winter 모형 2. 복수의 주기성을 고려한 지수평활모형 가. 이중 및 삼중 계절성 Holt-Winter 모형 나. BATS 모형 다. TBATS 모형 3. 상태공간모형을 활용한 지수평활모형의 추정 가. Holt-Winer 모형의 상태공간모형화 나. 일반적인 지수평활모형 및 BATS/TBATS 모형의 상태공간모형화 다. 상태공간모형의 추정 및 최적 모형의 선택 제4장 국내 전력수요 데이터를 사용한 실증분석 1. 데이터 설명 2. 삼중 계정성 모형 추정 3. 하향식(Top-down) 추정 4. 상향식(Bottom-up) 추정 가. 일평균 및 일피크 부하 예측 나. 정규화된 시간별 데이터 예측 다. 예측치 결합 5. 상향식 vs. 하향식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