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22
건물 에너지소비 상설표본조사 연구: (2차년도)
- 연구책임자
- 최도영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v v viii 245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2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9-151)수록
- 키워드
- 에너지밸런스, 에너지소비 행태, 건물에너지, 비주거용 건물 에너지소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88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88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88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8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2014년에 수행한 「건물 에너지소비 상설표본조사 연구」의 2차 년도 사업이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상설표본 건물에 대해 3년 간 연도별 에너지 소비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건물부문의 에너지 사용 행태를 파악하고, 에너지효율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통계자료를 생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물의 세부적인 특성 및 활동자료(activity data)를 조사하여 상설표본에 대한 패널(panel) 자료를 구축한다. 두 번째의 목적은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건물 업종별, 용도(난방, 냉방, 조명 등)별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자료와 건축공학적 시뮬레이션 모형에 활용되는 자료(에너지절약계획서 자료 등)의 연계를 통하여 주요 건물 업종의 용도별 에너지 소비를 구분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여 건축공학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운영하고, 용도별 에너지소비량 산출 및 주요 정책수단의 효과 분석을 수행한다.
세 번째 목적은 동 사업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어떤 요인들이 건물의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건물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별하고, 그 정량적인 효과를 파악한다. 이상의 세 가지 연구 목적은 데이터 구축이 완료되는 2016년도에 달성할 계획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5
제2장 건물에너지 관련 법규 및 소비 동향 9
1. 건물에너지 소비 관련 법・제도 현황 9
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10
나.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12
다. 에너지이용합리화법 13
2. 건물부문 에너지 소비 동향 13
가. 에너지원별 소비 추이 13
나. 용도 및 업종별 소비 구조 18
제3장 건물에너지 조사 및 선행연구 현황 23
1. 건물 에너지소비 조사 해외 사례 23
가. 일본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조사 24
나. 미국 상업용 건물 에너지 소비 조사(CBECS) 29
다. 미국 캘리포니아 건물 에너지 소비 조사(CEUS) 35
라. 캐나다 상업 및 공공건물 에너지 소비 조사(SCIEU) 42
2. 주요 연구사례 48
가. 비주거용 건물의 표준건물 설정 48
나. 사무용 건물의 표준건물 설정 51
제4장 2014년 예비 조사 55
1. 조사표 회수 결과 56
가. 주차별 회수 결과 57
나. 주요 특성별 회수 결과 58
2. 무응답 분석 결과 61
가. 단위무응답 61
나. 항목무응답 67
3. 특성 분포 72
가. 최종 표본 분포 72
나. 주요 특성 분포 74
제5장 2015년 1차 조사 85
1. 조사 설계 85
가. 조사 설계 방향 85
나. 2015년도 조사 설계 89
다. 2015년도 추가 조사 설계 90
2. 조사표 설계 95
3. 실사 97
가. 실사 진행 및 조사표 회수 현황 97
나. 조사표 내부 검증 100
다. 실사 애로요인 및 개선 사항 105
4. 조사 결과 분석 108
가. 개요 108
나. 주요 항목의 업종별 특성 109
다. 에너지수요변화 요인 분석 122
제6장 2016년 연구 추진 방향 139
1. 조사 설계 및 실사 139
2. 자료 및 모형 분석 140
제7장 결론 143
참고문헌 149
[부록1] 조사표 153
[부록2] 조사 지침서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