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자체연구보고서 22-01Analysis on the impact of oil shocks on Korea’s economy
국제 원유시장 변동 요인의 국내 거시경제 파급효과 분석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 형태사항
- x, 114p
- 총서사항
- KEEI 자체연구보고서 22-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1-8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39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9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39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 국제 원유시장에서 유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등의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것은 원유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이러한 현상은 연구자나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연구의 대상임.
○ 국제 유가의 급격한 변동은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유가 전망을 전제로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등 거시경제 변수에 대한 전망치를 도출하는 것도 그 자체로 의미 있는 분석임.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국제원유 시장의 주요 충격이 국내 거시경제 변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 두 번째로 제시된 연구에서는 국제 유가에 대한 전망을 기초로 하여 두 가지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대한 전망치를 도출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국제 원유시장의 주요 이슈
제2장 선행 연구
1. 해외 선행연구
1.1. 국제유가의 변동 요인
1.2. 유가 충격의 파급효과 분석
1.3. 비대칭성 연구
2. 국내 선행연구
2.1. KDI의 유형별 유가 충격 파급효과
2.2. 한국은행
3. 조건부 전망치 분석 선행연구
3.1. 부호 제약하 VAR 모형 식별
3.2. 내생변수 제약하 전망치(forecasts) 분석
제3장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한 국제유가 파급효과 분석
1. 모형 및 추정방법
1.1. 모형
2. 실증분석 결과
2.1. 자료 및 제약 조건
2.2. 식별제약 및 시차 선택
2.3. 구조변화 추정 결과
2.4. SVAR 모형 추정 결과
3. 결론 및 시사점
제4장 유가 시나리오별 조건부 전망
1. 분석 모형
1.1. VAR 모형
1.2. 식별(identification)
2. 조건부 전망치 도출 방법
2.1. Waggoner and Zha(1999) 방법
2.2. Antolin-Diaz et al.(2021) 방법
3. 유가 전망 시나리오하 조건부 전망치
3.1. 에너지경제연구원 유가 전망
3.2. VAR 모형 설정 및 데이터
3.3. 사전분포
3.4. 식별
3.5. 시나리오(structural scenario)
3.6. 분석 결과
3.7. 결론
제5장 결론
참고 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