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3311-24

에너지부문의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한 녹색성장 전략연구: 녹색 에너지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책임자
김성균, 이철용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viviiviii240p
서지주기
참고문헌 (p.225-230)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23대출가능-
자료실P42132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의 폐해를 줄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녹색에너지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을 강하게 요청 받고 있으며, 녹색성장을 통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을 공언한 바 있다. 녹색성장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함께 녹색에너지 산업을 진흥하여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발전 전략이다. 이런 녹색성장을 추구하면서 유럽, 북미,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들은 이미 그린레이스(Green Race)를 시작하였다. 기후변화 대응을 빌미로 녹색에너지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규정하고 자국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회복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녹색에너지산업의 후발주자로서 미국, 독일,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물론 중국, 인도 등 개도국에 비해서도 역량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녹색에너지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녹색에너지산업 육성 방안 및 수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궁리와 실천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녹색에너지 시장에서 국내 녹색에너지산업의 국제경쟁력의 현 위치를 진단하고, 한 단계 진일보하는 방안을 찾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계량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녹색에너지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 정부 및 기업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과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우리나라가 지금은 비록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지만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안들을 통해 녹색에너지 산업의 수출을 활성화 하여 국내 에너지안보를 개선하고 신규 에너지 수출국으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기존문헌 고찰 제3장 국내?외 녹색에너지산업 동향 1. 국제 녹색에너지산업 동향 2. 국내 녹색에너지산업 동향 3. 국내 녹색에너지산업의 문제점 제4장 녹색에너지산업의 국가경쟁력 분석 1. 연구의 개요 2. 연구 방법 3. 자료 4. 분석결과 제5장 녹색에너지산업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1. 녹색에너지산업 성공사례 벤치마킹 2. 녹색에너지 해외진출 진입장벽 분석과 대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경쟁력 관련 지표의 원자료 부록 2: 주성분분석 결과 부록 3: 신재생에너지 경쟁력 지수의 혼합 정규 분포의 추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