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2-01
다자개발은행(MDB)을 통한 자원개발투자 위험완화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최봉석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iiiiii57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2-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55-5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76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77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76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77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다자개발은행의 위험완화 금융상품을 활용하여서 저소득·고위험 국가들이 대부분인 자원개발 사업소재국의 비상업적 위험을 줄이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이 상품들은 현지 정부로부터 계약이행에 대한 확실한 보증을 받으므로 사전에 위험에 의한 손실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에 이자 비용 감소·만기일 연장·현금흐름 창출 등 추가로 금융재원조달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주요 전략인 해외동반진출 사업처럼 사업별 위험 수준 차이가 상당한 경우에는 한 사업 분야에 위험완화 금융상품을 도입 시, 비상업적 위험을 해소하는 동시에 연계된 다른 사업까지 금융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 제안되는 대부분 자원개발 동반진출 사업은 고위험의 자원개발사업과 저위험의 사회간접자본(SOC)사업이 결합된 형태라는 점을 볼 때, 본 연구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대부분의 자원개발 사업은 탐사단계에 해당하므로 저위험 사업부문에서 자원개발 부문의 위험을 떠안으려고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위험완화 금융상품이 우리나라 자원개발 동반진출 사업에서 기대되는 역량은 크다.
그러나 주요 다자개발은행에서 제공하는 위험보증 금융상품의 종류 및 그 특성이 다양하므로 현지 사업 환경과 프로젝트 사업의 내용에 적합한 ‘맞춤형’ 금융상품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까지 다자개발은행 금융상품의 실무적 활용사례가 미미한 우리나라 상황을 비춰볼 때, 정부는 다자개발은행 금융 전문가 및 현지사업 전문가를 활용하여서 수시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민간 기업들이 위험완화 금융상품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야 한다. 동시에, 사업 이해관계자들이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사업 이해관계자들도 사전에 현지 사업 위험도를 장·단기로 나눠서 치밀하게 분석하는 동시에, 정부와 유기적 협력하여 다자개발은행의 금융상품 지원에 대한 승인 조건에 맞춰진 사업 제안 노력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세계 권역별 위험 분석
1. 국별 위험(country risk)의 이해
2. ICRG(International Country Risk Guide) 지표 소개
3. 최근 세계 권역별 ICRG 지표 비교 분석
제3장 다자개발은행의 위험완화 금융상품 분석
1. 개요
2. 위험완화 금융상품 소개
3. 다자개발은행의 주요 위험완화 금융상품 분석
제4장 다자개발은행의 위험완화 금융상품 활용 사례
1. PRG와 PRI간 보완
2. PRG와 PRI를 활용한 기업금융(corporate financing)
3. 정부 서비스의 민영화 보증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