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2711-11
차세대 에너지공급시스템 기반 구축 연구: 가정용 연료전지의 에너지 효율성 및 경제성 분석 연구
- 연구책임자
- 유동헌
- 연구참여자
- 김수덕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iiiiivi96p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27 11-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72-7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29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29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2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2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국내의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은 2020년까지 10만 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의 녹색 성장 정책 안에서 연료전지의 추가적인 보급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연료전지는 배기열을 열병합발전 시스템에서 회수한다면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높은 발전 효율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국가 에너지 정책은 연료전지의 보급을 위한 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본 과제를 통해 정부의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기존의 에너지 이용 방식과 대비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판단해보고 정부의 녹색 성장 정책 틀 내에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면 지원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및 에너지 효율성
1. 연료전지 개요
2. 연료전지 시장 전망 및 국내 기술 로드맵
3. 국내 기술로드맵
4. 한국과 일본의 연료전지 시스템 시범사업
5. 연료전지의 에너지 효율성
제3장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경제성 분석
1. 열과 전기부하 추정
2. 가정용 연료전지 경제성 분석 모형
3. 분석 결과
제4장 가정용 연료전지 상업화 전략
1. 연료전지 시스템 보급의 장애 요소
2. 상업화 가능성 및 전략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