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11Structural change on citygas consumption in the energy-intensive industries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도시가스 소비구조 변화 연구
- 연구책임자
- 김창훈
- 연구참여자
- 오경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vi vi vii 130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5-12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559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559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55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55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도시가스 소비는 산업용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는 건물용에 비해 비중은 낮으나, 증감 폭은 훨씬 큰 특징을 가진다. 이는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가 건물용과는 달리 경기 및 에너지 가격 등 시장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의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량 변동은 에너지 상대가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상대가격의 등락에 비해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량의 변동 폭이 과거보다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2017년 말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회수 완료로 도시가스의 가격경쟁력이 제고되자 석유화학업의 도시가스 소비가 2018년 한해 거의 세 배 가까이 폭증(193.7%)했다. 이는 절대량으로 보더라도 엄청난 양이다. 2018년 에너지 최종 소비가 전년 대비 404.9만 toe 증가(1.7%)했는데, 석유화학 한 업종의 도시가스 소비가 209.1만 toe 증가하여 다른 모든 에너지원의 증가분을 압도했다. 이처럼 최근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의 변화는 전체 에너지 수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요인이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의 가격민감도를 이렇게 끌어올렸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산업용 도시가스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업종별 구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업종별로 도시가스의 용도 및 소비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산업 부문 중 도시가스 소비량이 많은 업종은 석유화학업, 철강업, 조립금속업 등 세 업종이다. 따라서 이들 업종의 도시가스 소비 구조 변화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석유화학업, 철강업, 조립금속업 등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도시가스 소비 구조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산업용 도시가스의 변동성 확대는 에너지 상대가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도시가스 소비의 구조 변화를 분석하되 상대가격 탄력도에 초점을 맞춘다. 어떤 요인들이 각 업종 도시가스 소비의 상대가격 민감도를 어떤 식으로 변화시켰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에너지 수급, 가격, 조세 정책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중요한 목적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장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도시가스 소비현황
1. 석유화학업의 도시가스 소비 현황
1.1. 석유화학 공정의 도시가스 소비
1.2. 석유화학업의 도시가스 소비 추이
2. 철강업의 도시가스 소비 현황
2.1. 제철 공정의 도시가스 소비
2.2. 철강업의 도시가스 소비 추이
3. 조립금속업의 도시가스 소비 현황
3.1. 자동차제조 공정의 도시가스 소비
3.2. 반도체제조 공정의 도시가스 소비
3.3. 조립금속업의 도시가스 소비 추이
4. 에너지다소비업종 도시가스 소비의 주요 이슈
4.1. 에너지상대가격 변화
4.2. 듀얼보일러 보급 확대
4.3. 석유화학업의 원료용 도시가스 소비
5. 소결
제3장 선행연구 및 분석 방법론
1. 국내 도시가스 소비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1.1. 선행연구
1.2. 본 연구의 차별성
2. 계량경제학적 분석 방법론
2.1. 구조 변화를 고려한 단위근 검정
2.2. Bai-Perron test
3. 소결
제4장 모형 설정 및 분석
1. 단위근 검정
2. 석유화학업 도시가스 수요함수의 구조 변화 분석
2.1. 석유화학업 도시가스 수요함수 설정
2.2. 석유화학업 도시가스 수요함수 구조 변화 검정
2.3. 구조 변화를 고려한 석유화학업도시가스 수요함수 추정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적 시사점
2.1. 에너지 수급 계획 관련 시사점
2.2. 에너지 가격 정책 관련 시사점
2.3. 환경 및 에너지 조세 정책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