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3A study on the electricity market reform for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power system(3/3)
저탄소 전력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 연구(3/3)
- 연구책임자
- 안재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i vi 106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1-10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29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29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29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29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내 배전계통에 태양광 보급 확대에 따라 배전계통운영자(DSO)와 개인 간(P2P) 전력거래 플랫폼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전계통운영자 및 P2P 거래 플랫폼 사업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DSO 도입 및 P2P 거래 플랫폼의 기능정립과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안 제시임.
□ 정책제언
- 국내 독립적인 기관으로서의 DSO 추진 방식은 소유권 분리, 법인 분리, 기능적 분리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음.
- 국내 P2P 플랫폼 거래 도입을 위해서는 현행 전기사업법의 일부 개정을 통해 플랫폼사업자를 통한 전력거래를 허용이 필요
- 변동적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소요되는 계통통합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환경적 편익 등이 최대한으로 발휘를 목적으로 단계별 전략 도출이 요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점
제2장 배전단계통운영자(DSO) 등장배경 및 역할
1. DSO 도입 필요성 및 기능
1.1. 전력환경 변화와 DSO 필요성
1.2. DSO의 에너지전환에 대한 기여
1.3. DSO의 필요 기능
2. 주요 DSO 프로젝트
2.1. Smartnet 프로젝트
2.2. 영국 SSEN(Scottish & Southern Electricity Networks)
2.3. 미국 프로젝트
제3장 분산에너지자원 플랫폼 구축현황 분석
1. P2P 전럭거래 플랫폼
1.1. 분산에너지자원을 이용한 개인 간 거래의 효과
2. P2P 전력거래 해외 구축 현황 분석
2.1. Piclo
2.2. Power Ledger사의 xGrid와 uGrid
2.3. Sonnen Community
2.4. Transactive Grid사의 Brooklyn Microgrid Project
2.5. Vandebron
제4장 P2P 플랫폼 거래 모형 분석
1. P2P 전력거래 모형 개요
1.1. 모형 구성
1.2. 모형 구성요소 및 기본 전제
2. 시나리오1 : 커뮤니티 ESS를 이용한 CM의 P2P거래 전략
2.1. 시나리오 순서 및 참여자 수익 모델
2.2. 대상계통 및 입력 데이터
2.3. 전력거래 시나리오 분석 결과
3. 시나리오2 : DSO와 CM의 출력제한 협조 전략
3.1. 시나리오 순서 및 대상 계통
3.2. 계통제약 발생시 CM의 출력제한 최소화 전략
3.3. CM의 출력제한 최소화 결과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주요 연구결과
2. 정책 제언
2.1. 단기 및 중장기 전략
2.2. DSO 기능 정립과 이행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2.3. P2P 플랫폼 거래 기능 정립 및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