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4Study for Development Measures of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3/3)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중장기 에너지효율관리 발전방안 연구(3/3)

연구책임자
이성인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 vi 142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4
서지주기
참고문헌(p.113-118)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296대출가능-
자료실P42629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2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2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과 고도화에 따른 디지털화로 에너지효율은 보다 가치 있는 자원으로 변모하고 있음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효율 개선은 한국판 그린·디지털 뉴딜 등 관련 정책에 의하여 가속화될 전망이며, 디지털 에너지효율 정책 설계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이 필요 □ 결론 - 수요관리의 디지털 전환은 국내 에너지 수요관리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 - 에너지수요관리와 효율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너지수요 측면의 데이터 구축과 생태계 조성이 시급한 핵심과제가 되고 있음 - 수요에 대한 신뢰성 있는 계측 데이터 구축(수집·표준화·분석)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함 - 수요관리 분야야말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모두 포괄하는 분야로. ‘한국판 수요관리 뉴딜 정책’이 전략적으로 과감하게 추진되어야 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디지털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생태계의 변화 1. 디지털 기술과 에너지효율 2. 디지털화와 수요관리 2.1. 수요반응 2.2. 분산에너지자원의 활용 2.3. 유틸리티의 비용절감 효과 3. 디지털화와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3.1. 디지털 전환을 통한 에너지 시스템의 진화 과정 3.2. 디지털 전환을 통한 에너지 시스템의 진화 방향 4. 디지털화와 에너지 부문별 영향 및 동향 4.1. 건물부문 4.2. 산업부문 제3장 수요관리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 1. 설문조사 개요 2.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효율개선의 장애요인 2.1. 장애요인 식별 및 우선순위 파악을 위한 방법론 2.2. 장애요인의 우선순위 도출 결과 3.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EMS 기반 디지털 기술 관련 소비자 선호 3.1. 전문가 선호 분석 방법론 3.2. 에너지 관리자 선호 분석 결과 4. 소결 4.1. 장애요인과 극복방안 4.1.1. 경제적 장애요인 해결방안 4.1.2. 정보, 기술, 기업 내부적 장애요인 해결방안 4.2.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인한 디지털 기술 활용 선호도 제4장 디지털 기반 통합 수요관리 플랫폼 구축방안 1. 지능형 수요자원 통합관리 플랫폼의 필요성 2. 지능형 수요자원 통합관리 플랫폼의 기술 환경 2.1. IT 인프라 2.2. 데이터 기술 2.2.1.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기반 빅데이터 처리 2.2.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반 확장성 및 보안성 증대 2.3. 실행기술 2.4. 분석기술 3. 지능형 수요자원 통합관리 플랫폼 구성요소 3.1. 주요 이해관계자 3.2. 에너지 서비스 3.3. 부하관리 3.4. 분산에너지 관리 3.5. 지능형 수요자원 통합관리 4. 한국판 뉴딜을 통한 지능형 수요자원 통합관리 플랫폼 발전방안 4.1. 스마트시티 사업과 연계한 발전방안 4.2. 플랫폼 기반 스마트 산업단지의 에너지 효율화 운영 제5장 요약 및 결론 1. 에너지수요 빅데이터 구축·활용 2. 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기반 구축 3. 지능형 에너지 수요자원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운영 4. 정책의 내실화와 실효성을 위한 중추적 역할 수행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