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9A Study on European Policies for Decarbonizing Heating and Cooling Sector and the role of the DHC Industry for the Implementation

유럽의 저탄소 냉난방 정책과 지역냉난방의 역할

연구책임자
오세신
연구참여자
노혜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i iv 83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9
서지주기
참고문헌(p.75-83)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175대출가능-
자료실P42617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1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1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유럽은 2020년 이후 보다 강화된 기후변화 대응을 요구하면서 냉난방 부문의 저탄소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가속화함. ○ 저탄소 냉난방 수단으로서 지역냉난방이 부각되며 유럽 주요국들의 효율적인 지역냉난방 보급 지원제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 ○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전환 정책과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냉난방 부문에 대한 관심은 제한적임. ○ 유럽의 최근 냉난방 정책과 지역냉난방의 역할 조명을 통해 국내 냉난방 부문의 저탄소화를 위한 인식 환기가 필요함. □ 결론 ○ 유럽은 에너지·기후 목표를 달성하는데 냉난방 부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저탄소 냉난방 수단으로서 지역냉난방에 비중 있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음. □ 정책제언 ○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로 저탄소 냉난방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지역냉난방 정책도 분산전원의 관점만이 아닌 저탄소 냉난방 정책을 이행하는 수단으로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
목차
1장 서 론 제2장 유럽의 저탄소 냉난방 정책 1. 유럽연합(EU)의 냉난방 정책 1.1. 냉난방 전략 1.2. 개정 에너지효율지침 1.3. 개정 건물에너지성능지침 1.4. 재생에너지 지침 2. 주요 EU 회원국들의 냉난방 정책 2.1. 독일 2.2. 프랑스 2.3. 영국 2.4. 스웨덴 제3장 유럽 지역냉난방의 정책적 역할과 과제 1. 유럽의 저탄소 냉난방 정책에서 지역냉난방의 중요성 1.1. 재생에너지 및 폐열 보급 수단 1.2. 유럽의 지역냉난방 공급 잠재량 2. 유럽의 지역냉난방 지원 제도 2.1. 독일 2.1.1. 열병합발전법(Cogeneration Act, KWKG) 2.1.2. Heating Network 4.0 2.2. 영국 2.2.1. Heat Networks Delivery Unit(HNDU) 2.2.2. Heat Networks Investment Project(HNIP) 3. 유럽 지역냉난방 기업의 저탄소 전략 3.1. Vattenfall 3.2. Fortum 3.3. Helen 3.4. VEKS / Fjernavarme Fyn 4. 유럽의 저탄소 지역냉난방 보급을 위한 과제 4.1. 3자 접속(Third Party Access)의 기술·제도적 과제 4.2. 지역난방 요금 체계의 개선 제4장 결론 및 국내 시사점 1. 결론 2. 국내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