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5-03A Study on the Response Strategy of the Oil・Power・Renewable Industry to the E-Mobility Growth(Renewable Energy) (2/4)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신재생에너지) (2/4)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ii vii 13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5-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1-118)수록
- 키워드
- 에너지시스템, 전기자동차, Electric vehicles, 스마트충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30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30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3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3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전환 실현을 위해 노력 중
- 기후위기와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복합적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써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투자확대 중요성이 더욱 부각
- 기후위기 극복과 에너지전환 실현을 위해서는 통합에너지시스템 구축 필요
- 본 연구에서는 수송 부문에서의 에너지시스템 통합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충전 기술의 도입과 통합에너지시스템 하에서 최적화가 요구됨
- 에너지전환 비전 달성을 위해 통합에너지시스템, 수송 부문에서의 신재생에너지와 E-Mobility 간 상호연계와 관련한 장기적이면서도 심층적인 연구 필요
□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 (목적) 본 연구는 총 4개년 연구로서 E-Mobility 성장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목적) 2차연도 연구는 E-Mobility와 신재생에너지의 상호 연계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실현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기대효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E-Mobility 산업, 에너지 전환-저장-운반 산업과 관련 서비스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수송부문의 통합에너지시스템 기반 구축에 기여
□ 결언
- 수송 부문에서의 에너지시스템 통합 실현 과정에서 세계적으로 전기차 스마트 충전 기술 도입과 제도화를 위한 실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전기차의 수요자원 가치에 상응하는 합리적 보상이 주어질 경우 전기차 보유자의 상당수가 V2G 충전 서비스에 참여 가능, 전력계통 비용 감축 전망
- 스마트 충전 비즈니스모델 구현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전력계통 수용성을 확보하고 수송부문의 탈탄소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 개선이 요구됨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E-Mobility와 신재생에너지 연계 – 스마트 충전
1. 스마트 충전 필요성
1.1. 전기차 시장 현황과 전망
1.2. 전기차 충전 관리의 필요성 – 피크부하 및 배전계통 영향
1.3. 전기차 충전 관리의 필요성 - 신재생 발전 연계
2. 스마트 충전 기술과 실증
2.1. 스마트 충전 유형
2.2. 스마트 충전 기술과 실증
3. 스마트 충전 비즈니스 모델
3.1. BTM(behind the meter) 서비스
3.2. TSO/도매 전력시장 서비스
3.3. DSO 서비스
3.4. P2P 서비스
3.5. VPP 서비스
3.6. CMO 플랫폼 서비스
4. 소결
제3장 E-Mobility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계통 상호영향 분석
스마트 충전 편익
1. 3장 서론
2. 모형 및 자료
2.1.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파일 추정
2.2. 전력시스템 최적화 모형
2.3. 전기차 관련 주요 가정 및 전제조건
3. 수요제어 방법별 가치 분석
3.1. 시나리오 설정
3.2. 비용 경감효과 분석
3.3. 순 비용 경감효과 분석
4. 소결
제4장 E-mobility 서비스 소비자 수용성 분석 -스마트 충전 보상
1. 4장 서론
2. 분석 방법론
3. 실험설계
3.1. 평가대상 재화
3.2. 설문조사 설계
3.3. 보상금 수령 수단
4. 응답자 특성
5. 분석 결과
6. 소결
제5장 종합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2.1. 스마트 충전 기술과 비즈니스모델 104
2.2. 신재생에너지와 E-Mobility의 상호 영향–스마트 충전 가치 (편익)
2.3. 스마트 충전 서비스의 소비자 수용성 – 스마트 충전 보상
3. 결언
참고문헌
부록 - 설문조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