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1-10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entering the energy industr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capabilities
디지털화에 따른 에너지산업 신규진입 기업 특성 분석
- 연구책임자
- 박찬국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ix 10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1-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77-8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05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0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0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0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통신, 소프트웨어, 단말기, 보안, 건설, 자동차 등 다양한 비즈니스가 에너지산업에 진출 중
○ 기업들이 어떤 디지털 기술들을 토대로 어떤 사업들을 펼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 부족
○ 궁극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에너지산업의 변화 방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전략 고도화 필요
■ 연구 목적
○ 에너지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롭게 진입하는 기업들 특성 이해
○ 디지털 기술 기반 사업 및 기술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에너지산업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신사업 유형을 기존 연구들과 상호보완적으로 보다 깊이 이해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화 프로젝트 특성
○ Analytics software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고 에너지 부문에서 그 현상은 심화
○ 전력과 석유가스 부문을 비교하면, 대체로 유사하지만 전력 부문에서는 IoT에 대한 투자 확률이 높고, 석유가스 부문에서는 Automation 투자 확률이 높음.
■ 에너지산업 신생기업들의 사업 특성
○ 소프트웨어, 솔루션 & 플랫폼 제공이 가장 높은 비중 차지
○ 소프트웨어 관련 사업모델과 더불어 버추얼파워플랜트도 신생기업 사업 관련 토픽들 중에서 2번째로 높은 비중 차지
○ 디지털 기술 차원에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로봇, 블록체인 순으로 에너지신생기업들과 깊게 관련
■ 국내 에너지신사업 참여 기업 특성
○ 에너지밸리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에너지신사업 참여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연락을 취한 약 200개 기업 중 45개 기업이 응답
○ 기업들의 효율성 분석에서는 총 자산이 많을수록, 연구개발비가 많을수록 효율성이 증가
3. 결론 및 정책제언
■ 결론
○ 에너지 부문 디지털 기술 활용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데이터, 로봇, 드론과 같은 자동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
○ 국내와 글로벌 차원의 이슈를 비교해보면, 국내의 경우 대체로 IT솔루션 및 수요관리와 효율 부문에 신생기업들의 사업이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글로벌 차원에서는 에너지 생산, 거래, 저장 등 수요측 부문 외의 다양한 부문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이 강조
○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신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은 고급인력 유치 및 유지,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이 기업 발전에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
■ 정책제언
○ 에너지 부문 디지털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는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데,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경쟁할 수 있는 규제 및 시장제도 마련
○ R&D 지원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신사업 특화 기술 평가, 우수 기술기업 선정, 장기적 지원 체계 구축 등에서 세부적인 정책 설계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제2장 기존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사업 특성 분석
1. 개요
2. 방법론
1.1. 데이터 수집
1.2. 종속 변수
1.3. 독립 변수
1.4. 데이터 분석
3. 연구 결과
4. 소결
제3장 신생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 사업 특성 분석
1. 개요
2. 방법론
2.1. 데이터 수집
2.2. 데이터 정제
2.3. 데이터 분석
3. 연구 결과
3.1. 적정 토픽수 선정
3.2. 사업 관련 주요 토픽
3.2.1. 에너지신생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 현황
3.2.2. 주요 디지털기술과 토픽 간 관계
3.2.3. 시기별 변화에 따른 신호 분류
4. 소결
제4장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 사업 특성 분석
1. 개요
2. 방법론
2.1. 데이터 수집
2.2. 데이터 분석
3. 연구 결과
3.1. 설문조사 결과
3.2. 재무제표 정보를 통한 효율성 분석
4.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