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3Analysis on the Daily Peak Demand of Electricity
일별 최대전력수요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연구책임자
- 남경식
- 연구참여자
- 박지용, 진귀영, 유경진, 유경진, J. Isaac Miler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 ix 154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51-154)수록
- 키워드
- 전력수요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27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27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2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2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확한 최대전력수요의 분석 및 예측은 효율적인 발전설비 운용계획의 수립과 효과적인 수요관리 방안의 도출을 위해 필수적임.
- 기존의 최대전력수요에 관한 연구는 최대전력수요와 기온 간의 비선형 관계에만 초점을 두고 있음.
- 태양광과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 확대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덕 커브 현상의 원인 분석이 필요함.
□ 결론 및 정책제언
- 고빈도에서 전체 최대전력수요의 세분화된 특징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수요관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
- 최대전력수요와 기온 변수 간의 통계적 관계를 추정할 때 날씨 변수 간의 상호 복합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날씨 변화에 대한 최대전력수요의 민감도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최대전력수요의 개념
2.1. 총 발전량과 최대전력수요
2.2. 최대전력수요 변화의 특징
제3장 일별 최대전력수요의 계량경제학적 추정
3.1. 최대전력수요의 날씨 변화에 대한 민감도
3.2. 고빈도 교차기온반응함수
3.3. 일별 최대전력수요 모형
3.4. 고빈도 교차기온반응함수의 계량경제학적 추정방법론
3.5. 추정 모수의 불확실성 및 과대화
3.6. 대한민국의 소득 및 날씨 자료 분석
3.7. 일별 최대전력수요의 추정 결과
제4장 전체 최대전력수요의 분해
4.1. 계약종별 전력수요의 특징
4.1.1. 주택용·일반용·산업용 전력수요
4.1.2. 교육용·농사용·가로등용·심야용 전력수요
4.1.3.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의 확대에 따른 최대전력수요의 변화
4.2. 계약종 및 업종별 전력수요가 전체 최대전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4.3. 산업부문 업종별 전력수요의 특징 : 산업용의 주요업종을 중심으로
제5장 계약종 및 업종별 전력수요의 추정
5.1. 계약종별 전력수요의 요인 분석
5.1.1. 주택용 자료의 요인 분석
5.1.2. 일반용 자료의 요인 분석
5.1.3. 산업용 자료의 요인 분석
5.1.4. 교육용·농사용·가로등용·심야용 자료의 요인 분석
5.2. 산업부문 업종별 전력수요의 요인 분석
5.3. 최대전력수요의 관리를 위한 계약종 및 업종별 시사점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