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01Electrification of space heating in multi-unit dwelling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공동주택 난방의 전력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지효, 김종우
연구참여자
소진영, 추다해, 백선미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형태사항
xi 10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01
서지주기
참고문헌(p.91-10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7277대출가능-
자료실P42727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72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72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건물 부문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을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32.8%, 2050년까지 88.1% 감축하겠다는 목표 설정 ○ 난방용 에너지원의 전력화를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 수단으로 제시한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난방 에너지원의 대체보다는 에너지효율 향상에 주력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가정 부문의 화석연료 난방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력화의 방안과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제2장) 건물 난방의 탈탄소화 대안: 전력화 ○ 건물 난방의 탈탄소화 방안을 온도차 에너지, 무탄소 연료, 기타(태양열)로 구분하여 주요 특징 개관 ○ 국제기구(IEA・IRENA) 및 주요국(영국・독일・미국)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전략에서 나타난 난방 전력화 대안 분석 ○ 에너지원의 국내 수급여건,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 공동주택 적용 가능성 등을 검토한 결과 “지열・수열・공기열 등 온도차 에너지를 열원으로 활용하는 전기 히트펌프 시스템”, 즉, 난방의 전력화가 유력한 대안 ■(제3장) 공동주택 난방 전력화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 (제도적 요인) ①난방방식 전환에 대한 정책목표 부재, ②신재생에너지 인정 범위의 제한성, ③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제도의 한계 등 ○ (경제적 요인) ①높은 초기투자비, ②인센티브 제도의 한계 등 ○ (기타 요인) ①기축 공동주택 적용의 한계, ②에너지의 비효율적 이용 등 ○ 제도적・경제적・기타 장애 요인의 해소는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여 추진하되, 제 도적 장애 요인의 해소 선결이 중요 ■(제4장) 공동주택 난방 전력화의 전력수요 영향 ○ 에너지경제연구원 EGMS의 가정 부문 모듈을 모형으로 사용, 3개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가정 부문 탄소중립 경로를 탐색함. ○ (시나리오 분석 결과) 가정 부문 탄소중립 경로를 달성하려면 에너지효율 향상만으로는 부족하여 난방과 취사의 전력화가 병행되어야 하고, 이 경우 2050년 전력수요는 현 수준 대비 약 2배 증가 ○ (공동주택 난방 전력화) 탄소중립 경로 달성 시, 2050년 공동주택의 난방설비 중 히트펌프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23%까지 확대되며 이로 인해 전력수요는 50.0 TWh 증가할 것으로 전망 3. 결론 및 정책 시사점 ■결론 ○ 건물 에너지효율 향상만으로 가정 부문의 탄소중립 경로 달성이 불가능하므로, 우리나라도 국제기구 권고 및 주요국 사례를 참고하여 난방방식의 탈탄소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 ○ 가정 부문 탄소중립 경로를 달성하려면 2030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난방의 전력화를 추진해야 하므로, 그전까지 제도적・경제적 장애요건을 해소하고 최적의 난방 전력화 대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 ■정책 시사점 ○ 에너지효율 향상만으로는 가정 부문 탄소중립 경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건물의 에너지효율 향상과 난방방식의 전환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함. ○ 공동주택 난방의 탈탄소화 대안으로 지열・수열・공기열 등 자연의 온도차 에너지를 열원으로 활용하는 전기히트펌프 시스템이 유력 ○ 공동주택 난방의 전력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난방방식 전환의 정량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과업을 담은 로드맵 작성이 필요 ○ 신재생에너지 보급제도와 건축물 에너지효율 향상 관련 제도의 개선을 통해 난방 전력화의 제도적・경제적 장애 요인의 해소 필요 ○ 난방 전력화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가 에너지시스템에 미치는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기히트펌프를 섹터커플링의 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공동주택 난방의 탈탄소화 대안: 전력화 1. 건물의 탈탄소 난방방식 1.1. 온도차 에너지 1.2. 무탄소 연료 1.3. 기타 난방방식 2. 해외의 탈탄소 난방 동향 2.1. 주요국 2.2. 국제기구 3. 국내 공동주택 난방의 탈탄소화 대안 3.1. 탈탄소 난방방식 비교 3.2. 국내 적용가능 대안 제3장 난방 전력화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1. 제도적 요인 1.1. 난방방식 전환에 대한 정책목표 부재 1.2. 신재생에너지 인정 범위의 제한성 1.3.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제도의 한계 1.4. 제도적 장애 요인 극복 방안 2. 경제적 요인 2.1. 높은 초기투자비 2.2. 인센티브 제도의 한계 2.3. 경제적 장애 요인 극복 방안 3. 기타 장애 요인 3.1. 기축 공동주택 적용의 한계 3.2. 에너지의 비효율적 이용 3.3. 기타 장애 요인 극복 방안 4. 소결 및 정책 시사점 제4장 난방 전력화의 전력수요 영향 1. 분석모형 2. 분석 시나리오 3. 분석 결과 3.1.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3.2. 시나리오 분석 결과 3.3. 공동주택 난방 전력화 영향 4. 소결 및 정책 시사점 4.1. 소결 4.2. 정책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