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01Studies on Residential New and Renewable Energy using Energy Consumption Survey data: Factors of Household Adoption and Energy Consumption Patterns
에너지총조사 가정부문 자료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요인과 에너지 소비 특성 분석
- 연구책임자
- 조일현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iv v vii 11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1-115)수록
- 키워드
- 에너지 소비, Energy consumption, 주택용 신재생, 태양광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557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557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55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55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내놓았는데, 그중 자가용 신재생 보급을 위해서 15가구당 1가구꼴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하겠다고 계획하였다. 현재 국내 가정용 신재생 설비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을 통해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가정부문 신재생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신재생 설비를 설치하는 가구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외에서의 활발한 연구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자료 부족으로 가구 단위의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에너지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는 가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시작된 것으로 가구 단위에서 이루어진 국내 첫 연구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는 두 가지 측면에서 신재생가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어떤 가구가 설치하는지 설비 설치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설비 설치 후 신재생가구의 에너지 소비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주택용 신재생 보급 현황과 정책
1. 국내 주택용 신재생 설비 보급 정책
2. 국내 주택용 신재생 설비 보급 동향
3. 해외 주택용 신재생 설비 동향과 정책
4. 소결
제3장 에너지총조사 가정부문 신재생가구 특성
1. 2017년 에너지총조사 가정부문
2. 분석의 범위 한정
3. 신재생가구의 표본 특성
4. 소결
제4장 주택용 신재생 설비 설치 요인
1. 선행연구
2. 분석 모형
3. 자료와 변수
4. 분석 결과
5.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6. 소결
제5장 신재생가구의 에너지 소비 특성
1. 선행연구
2. 분석 모형
3. 자료와 변수
4. 분석 결과
5.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6. 소결
제6장 종합 및 정책 제언
1. 주요 연구 결과
2. 문제점 및 가능한 이슈
3.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