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3A study on the electricity market reform for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power system
저탄소 전력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안재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vi vi vii 100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7-100)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5618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56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56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56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의 당위성을 검토하고 향후 출력제한량을 추정하는 한편 국내 적합한 출력제한 수행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사회후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출력제한 보상제도 고찰과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변동성 재생에너지 특성 및 출력제한 필요성
1. 변동적 재생에너지 특성 및 대응방안
1.1. 변동성 재생에너지 예측오차 및 변동성
1.2. 변동성 재생에너지 대응방안
2. 출력제한(Curtailment) 필요성 및 개요
2.1. 출력제한 필요성
2.2. 출력제한 개요
2.3. 변동적 재생에너지의 기술적 출력제한 방법
2.4. 해외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방식
3. 국내외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현황
3.1. 국내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현황
3.2. 국외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현황
제3장 해외의 출력제한 보상 및 완화 제도
1. 국외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보상제도 검토
1.1. 국외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보상 제도
1.2. 출력제한 보상에 관한 연구
2. 해외 주요국의 출력제한 완화
2.1. 예비력 및 급전 관리(Reserves and Generation Management)
2.2. 최소 출력수준 감소(Reduction of minimum generation levels)
2.3. 변동적 재생에너지 계통수용 확대(Integration of VRE into the market)
2.4. 음의 가격 입찰(Negative bidding)
2.5. 에너지 임밸런스 시장(Energy imbalance market)
2.6. 풍력발전 증감발 관리(Wind Power ramp management system)
2.7. 송전설비 증대 (Increase transmission capacity)
2.8. 예측능력 제고(Improved forecasting)
제4장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분석
1.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분석 개요
2.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분석 방법
2.1. 공급과잉으로 인한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 분석 방법
2.2. 변동성으로 인한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 분석 방법
3. 국내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 예측
3.1. 자료 수집 및 시나리오 설정
3.2. Residual Load 산정 및 공급과잉으로 인한 출력제한량
3.3. 기동정지계획(Unit Commitment) 수행
3.4. 계통 유연성 분석
3.5. 시나리오별 출력제한량 산정 결과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1. 주요 연구결과
2. 변동적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제도 제안
3. 기술개발 및 관련 제도 제안
[부록] 미국 및 영국 전력시장에서의 Negative Price
1. 미국
1.1. California Independent System Operator (CAISO)
1.2. ERCOT
1.3. NYISO
1.4. PJM
1.5. ISO-NE
2. 유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