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4Study for Development Measures of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중장기 에너지효율관리 발전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이성인, 소진영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형태사항
viii x xi 243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4
서지주기
참고문헌(p.173-179)수록
키워드
수요관리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620대출가능-
자료실P42562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62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6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수요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병존하며, 이에 대한 종합적인 영향은 아직 예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 하에서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가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그 기술들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에 어떠한 기회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기회를 활용하여 에너지효율관리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으며 크게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는 4차 산업혁명관련 기술과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시스템과의 융·복합이 전반적으로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에너지효율 관리제도를 정비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관리 기업(산업)을 '기술 기반 수요관리기업(산업)'으로 정의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여 시장을 확대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3년에 걸쳐 수행되며, 이번 연구는 2차 연도 연구 이다. 1차 연도에는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2차 연도인 금년에는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의 생태계 강화와 시장 환경 조성을 주요 내용으로 '공급자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 연도에는 에너지 또는 수요관리 서비스의 '수요자 관점'에서, 기술기반 수요관리 서비스 시장의 환경을 조성하고 시장참여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내용 제2장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및 활용 현황 1. 에너지수요관리산업 현황 및 설문 개요 1.1. 에너지수요관리산업 현황 1.2.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 개요 1.3. 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1.4. 응답자 특성 2. 수요관리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도입 현황 2.1.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도입 현황 2.2. 4차 산업혁명 주변기술 도입 현황 2.3.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 에너지수요관리산업 전망 3.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현황 4.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경쟁력 분석 1. 기업혁신지수 산출 방법론 1.1. 분석 방법 1.2. 분석 자료 2. 에너지수요관리산업 경쟁력 평가 2.1. 경쟁력 종합 평가 2.2. 기업 규모별 경쟁력 평가 2.3. 기업 유형별 경쟁력 평가 3.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경쟁력 평가 3.1. 기술기반 및 전통기반 수요관리기업 간 경쟁력 비교 3.2. 기술기반 수요관리기업의 유형별 경쟁력 비교 3.3. 우리나라 기업과 외국계 기업 간 경쟁력 비교 4.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1.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및 활용의 장애요인 1.1. 에너지수요관리 사업의 장애요인 일반 1.2. 4차 산업혁명 기술도입ᄋ활용의 장애요인 2.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2.1. AHP 방법론 개요 2.2. AHP 설문 과정 2.3.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3. 종합 및 정책건의 제5장 4차 산업혁명 기술도입의 정책효과 1. 분석대상 및 방법론 1.1. 분석대상 1.2. 분석방법론 2. 분석 시나리오 및 보급대수 전망 2.1. 분석 전제 및 시나리오 2.2. 보급대상 및 보급대수 전망 3. 행태 DB 및 기술 DB 3.1. 행태 DB 3.2. 기술 DB 4. 분석 결과 4.1. 전력사용량 절감효과 4.2. 전력수요 절감효과 4.3. 정책효과 5. 정책적 시사점 및 한계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제언 2.1. 기술기반 수요관리산업의 경제성 제고 2.2. 기술 인프라 및 표준화 환경 조성 2.3. 에너지절감 성과에 대한 신뢰성 제고 2.4. 시장 창출 정책 2.5.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정책 2.6. 대ᄋ중소기업 협력네트워크 구축 참고문헌 부록1. 수요관리산업 실태 조사표 부록2. 규모별 기업 분류 기준 부록3. 경쟁력 평균 차이 유의성 검증 부록4. AHP 분석을 위한 설문지 부록5. 국내 BEMS 설치 사례 참고문헌 –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