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15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he supply based virtual power plants by aggregator service

공급형 가상발전소(VPP) 활성화 방안 연구: 소규모전력중개시장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안재균, 김남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형태사항
xv v v 98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15
서지주기
참고문헌(p.95-98)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602대출가능-
자료실P42560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6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60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소규모 태양광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이러한 소규모 태양광 발전은 계통운영자가 정확한 발전량을 알 수 없으므로(가시성 악화) 급전계획에 차질을 발생하여 관련 비용(연료비, 기동비, 보조서비스)이 증가할 수 있으며, 변동적인 발전 특성으로 인해 전압 및 주파수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전력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통합하여 발전량의 예측능력 강화(불확실성 해소), 전압제어, 예비력 제공 기능을 제공하는 공급형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VPP)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정부는 가상발전소 육성을 위한 첫 단계로 소규모전력중개시장 제도를 2019년 2월부터 운영을 시작하였으나 2019년 9월 기준으로 실제 운영 중인 중개사업자 수는 5개에 불과하며, 실제 거래 되는 용량은 11.1MW 수준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설정임.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차별성 제2장 가상발전소 정의 및 사업현황 분석  1. 가상발전소 유형  2. 공급형 가상발전소 사업 모델  3. 가상발전소 사업 및 정책 전망 제3장 국내외 소규모 전력 중개시장 제도 분석  1. 독일의 관련 제도 동향 및 주요 내용  2. 호주 관련 제도의 동향 및 주요 내용  3. 미국 관련 제도의 동향 및 주요 내용  4. 국내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및 관련 현황 제4장 분석모형 및 결과  1. 모형 개요  2. 설문 설계  3. 기초통계 분석  4. 추정결과 및 시뮬레이션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1. 주요 연구결과  2. 공급형 가상발전소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3. REC 제도개선을 통한 공급형 가상발전소 활성화 방안 부 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