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5-02A Study on the Response Strategy of the Oil・Power・Renewable Industry to the E-Mobility Growth(Electricity)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전력)

연구책임자
박명덕
연구참여자
김재엽, 김비아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형태사항
xi xiii viii 135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5-02
서지주기
참고문헌(p.129-135)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624대출가능-
자료실P42562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6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62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에너지 부문에서 급격한 전력화(Electrification)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전력화 현상은 여러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겠으나, 과거 1차 에너지인 석유 및 가스 중심의 소비에서 전기 중심의 소비로 점차 대체되는 현상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수송부문에서는 난방부문 이상으로 1차 에너지에서 2차 에너지(전력)로의 급격한 최종에너지소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수송부문은 향후 전력화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석유제품 중심의 에너지소비 행태를 보이던 수송부문은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급격히 전력화되는 중이다. 특히 국내외를 막론하고 전기자동차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는 추세이며, 비록 전기자동차 보급 속도에 대해 수준 상의 이견이 있을지라도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대되어 종국에는 수송부문 자체가 전력화 될 것이라는 흐름에는 대체로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최종에너지소비 부문에서 산업부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송부문의 전력화로 인해 전력산업 전반에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가 발생하리라는 것은 자명해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향후 수송부문의 새로운 흐름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적절한 대응전략 모색 및 수립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수송부문의 전력화 확산은 국내 전력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러 영향 중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전기자동차의 전력소비량 증가가 최대부하에 미치는 영향과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구성에 따른 친환경성 여부라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것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삼고자 한다. 첫 번째 질문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가 연도별 최대전력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이며, 두 번째 질문은 "전기자동차 충전에 사용되는 전기는 어떤 발전원으로 생산되었는가?"이다. 이상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이 E-mobility 성장에 따른 전력산업의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추진체계 제2장 E-mobility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분류 2. 전력수요 및 최대전력 관련 선행연구 3. 전기자동차가 환경부문에 미치는 영향 연구 4. 우리 연구의 차별성 제3장 국내 E-mobility 관련 정책 분석 1. 국내외 전력산업 관련 주요정책의 변화 1.1. 전력부문 에너지전환정책 1.2. 국가에너지계획과 전기자동차 보급의 연관성 2. 국내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 분석 2.1. 전기자동차 보급 현황 및 목표 2.2.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보급 현황 및 목표 제4장 E-mobility 영향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 1.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전력소비량 분석 1.1. 연도별 전기자동차 보급대수 추정 1.2. 연도별 전기자동차 연비 추정 1.3. 연간 전기자동차 주행거리(km/대) 추정 1.4. 연도별 전기자동차 전력소비량 전망 2. 전기자동차 충전전력량의 시간대별 비중 분석 2.1. 전기자동차 충전 패턴 분석 2.2. 충전 인프라 보급 시나리오 설정 및 시나리오별 충전패턴 분석 3. 시간대별 전기자동차 충전수요 추정 4. 소결 제5장 E-mobility 확산에 따른 전력산업 영향 분석 1. 최대전력수요 영향 분석 1.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력수요 분석 1.2.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망기간 동안의 시간대별 전력수요 추정 1.3. E-mobility 확산에 따른 최대전력 영향 2. 시간대별 발전원별 비중 분석 2.1. 발전원별 발전량 추정 3.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및 환경비용 추정 3.1. 충전 시간대 시나리오별 발전원별 비중 분석 3.2. 수송부문 전력화에 따른 연간 환경비용 추정 3.3. 수송부문 전력화의 환경편익 추정 3.4. 수송부문 전력화의 환경편익 비교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정리 및 시사점 1.1. 수송부문의 연료전환 1.2. 수송부문 전력화 성장이 최대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 1.3.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2. 최대부하 관리를 위한 전력산업 대응전략 2.1. 전기자동차 충전요금 현황 및 문제점 2.2. 정책제안 3. 전력공급량 증대에 따른 전력산업 대응전략 4. 기타 정책제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