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2Analysis on Economic Effect of Renewable Energy Deployment(2/4)
재생에너지 확대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2/4)
- 연구책임자
- 김기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ii x 30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97-203)수록
- 키워드
- 산업연관분석, 연산가능일반균형, CGE, 동태확률일반균형, Bayesian DSGE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29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29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2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2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한 수단으로 재생에너지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정부도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과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를 바탕으로 최근 2050 넷제로를 선언하여 재생에너지 지원 확대를 위한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이러한 추세에서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은 추세적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그 과정에서의 경제적 효과와 이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 연구를 1차년도 모형 구축에 이어 2차년도에는 1차년도 모형을 확장하고 추가적인 모형을 더 분석에 포함시킴.
□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 본 연구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여러 모형을 통해 분석함
- 2015년 기준의 산업연관분석은 시장 초기라고 볼 수 있는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 부문(운영) 및 제조 부문 생산유발계수와 고용유발계수의 수치가 타 발전원 대비 낮은 것으로 분석됨.
- 태양광과 풍력의 부가가치계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됨.
- 시장 초입 단계로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시간이 갈수록 파급효과의 크기에 대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 CGE 모형 분석을 통한 시사점
-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은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 소득 증가의 경향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통해 상승한 노동가격과 자본가격의 수혜를 노동 및 자본소득이 더 많은 고소득층이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이는 발전 부분의 사회 보장 제도 강화나 에너지 분야의 노동 시장에서의 불균형 완화를 위한 정책이 보완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함.
○ DSGE 모형 분석을 통한 시사점
- 재생에너지 산업은 불확실성에 쉽게 노출되므로 관련 정책은 비재생에너지 부문의 온실가스 정책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함.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제2장 문헌연구
제3장 에너지원별 산업연관분석 모형
1. 발전원별 산업연관표 작성 과정
2. 2015년 발전원별 경제적 파급효과
3. 2020년, 2030년 발전원별 경제적 파급효과
4. 발전원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리
5. 발전원별 성장률 구분 시나리오
6. 발전원별 파급효과 분석결과 분석
7. 소결
제4장 재생에너지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
1. 모형의 구조
2. 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의 재원별 차별적 효과 분석
3. 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이 고용과 가계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4. 소결
제5장 재생에너지 동태확률적 일반균형 모형
1. 모형의 구조
2. 분석 방법
3. 실증 분석 결과
4. 소결
제6장 연구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