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4Analysis on the volatility of electricity consumption using high frequency data

고빈도 자료를 활용한 전력소비 변동성 결정요인 분석

연구책임자
강병욱
연구참여자
박광수, 이서진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 vii 132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4
서지주기
참고문헌(p.101-10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278대출가능-
자료실P42627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2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2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전력 소비 변동성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급부상함. - 첫 번째는 다양한 변동성 추정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전력 소비 변동성 추정에 가장 적합한 추정법을 제안하는 것임. - 두 번째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 소비 변동성을 추정하고, 전력 소비 변동성 변화 요인을 분석하는 것임. - 세 번째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향후 전기요금제 개편이 전력 소비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임. □ 학술적 기여 - 첫 번째,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동성 추정 방법론을 소개하고 비교·평가하여 전력 소비 변동성 분석에 가장 적절한 추정법을 제안하였음. - 두 번째, 기존 연구에서는 고려한 적이 없는 전기요금제 변수의 영향을 분석했음. - 그 결과, 누진율과 계시별차등율이 높아질수록 전력 소비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함. - 그리고 전력 소비 변동성은 누진율 변화보다는 계시별차등율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계절별로는 여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됨. - 세 번째, 전력 소비 변동성 결정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17년 누진제 개편의 영향을 평가하고, 전기 요금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향후 전기요금제 개편이 전력 소비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진단하였음. □ 향후과제 - 첫 번째, 경제규모나 산업구조 변화 등 경제 변수가 전력 소비 변동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자료의 빈도 문제로 경제 변수는 분석에서 제외하였음. - 분석 자료의 빈도를 월간이나 분기로 설정하게 되면 경제변수를 포함할 수 있겠으나, 이는 본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벗어나므로 향후 과제로 남겨둠. - 두 번째, 2010년대 중반 이후 전력 소비 변동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는 수요반응자원 감축 실적과 가정용 태양광 설치 용량 등의 변수가 분석에서 제외되었음. - 이들 변수들이 전력 소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도 향후 더욱 정교한 모형이나, 추가적 자료 구축 등을 통해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대상 및 목적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선행연구 및 변동성 추정 방법론 1. 전력 소비 변동성 분석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1.1. 선행연구 1.2. 본 연구의 차별성 2. 변동성 추정 방법론 2.1. ARCH 모형 2.2. GARCH 모형 2.3. 확률변동성(Stochastic Volatility) 모형 2.4. 실현변동성(Realized Volatility) 2.5. Holland and Mansur (2008)의 방법론 2.6. 변동성 추정방법론 평가 3. 소결 제3장 전력 소비 변동성 모형 설정 및 분석 1. 일간 전력 변동성 추정 1.1. 사용 자료 1.2. 전력 소비 변동성 추정 1.2.1. Holland and Mansur (2008) 추정법 1.2.2. 실현변동성(Realized volatility) 2. 일간 전력 소비 변동성 결정 요인 분석 2.1. 사용 자료 2.2. 전력 소비 변동성 결정 요인 분석 2.2.1. 기상 변수 추정 결과 2.2.2. 달력 변수 추정 결과 2.2.3. 전기요금제 변수 추정 결과 2.3. 전기요금제 효과 분석 3. 소결 제4장 전기요금 정책 효과 및 시나리오 분석 1. 2017년 누진제 완화가 전력 소비 변동성에 미친 영향 2. 전기요금 개편 시나리오 분석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학술적 기여 3.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1. 기온변수 선택 2. 변동성 추정치별 식 (3-1) 추정 결과 3. 변동성 추정치별 식 (3-2) 추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