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1-2821-86-01A study on the measure of the construction for trade mechanism and market activation of eco-friendly distributed energy based on digital platform
녹색에너지협동연구: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친환경 분산에너지 거래메커니즘 구축과 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이유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xii 217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1-28 21-86-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99-209)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09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09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0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0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화석연료 기반의 대규모 전력 공급 체계의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적 에너지 자급자족에 기여가 큰 분산에너지자원의 확대가 불가피함.
○ 우리나라는 분산에너지자원 확대와 관련하여 배전계통 측면에서 전통적 배전망 투자 방식으로 비용 증가를 유발하고, 규제 위주의 도매시장과 독점적 소매시장 구조가 분산에너지자원의 진입과 활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국내외 분산에너지자원 활용 사례 분석
○ 유럽의 분산에너지자원 활용은 시장의 거래메커니즘을 통하여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자원을 조달하는 지역 유연성자원 거래시장을 통하여 이루어짐.
○ 반면 우리나라는 시장거래보다 규제 위주의 시장 운영 시스템과 전통적 망운영 방식에서 분산에너지자원의 활용방안을 고민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업모델과 거래유인 제공은 한계가 있음.
■ 디지털 플랫폼 활용과 배전계통 운영
○ 디지털 플랫폼 기술의 확대와 시장 활성화에 따라 에너지부문에도 기술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반 위에 배전계통 차원에서 분산에너지자원의 연계에 대한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지고 있음.
■ 분산에너지자원의 효율적 배전계통 연계와 활용 모델 분석
○ 분산에너지자원의 배전계통 연계와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지만, 전통적 배전망 확대 투자 방식에 따른 비용 증가를 효율적 운영으로 대체하기 위해서 계통운영자(DSO) 도입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으로 효과를 검증함.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력시장 조건에 부합하는 배전계통 운영자(DSO) 관련 모델을 살펴보고, DSO를 도입하면 어떤 방식이 타당한지를 검토함.
■ 분산에너지자원의 활성화를 위한 시장구조 개선과 개인 간 거래 모델 분석
○ 통신부문의 시장자유화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동일한 네트워크 산업인 전력부문의 시장설계를 논의하고, 개인 간 거래를 중심으로 행위자기반모형 분석을 시행함.
○ 이러한 경쟁촉진을 통한 시장개방과 계통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체제에서는 시장참여자의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함.
3. 결론 및 정책제언
■ 결론
○ 분산에너지자원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배전계통의 효율적 운영과 경쟁적 시장구조의 조성을 위한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함.
■ 정책제언
○ 외국의 사례 분석에서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분산에너지자원의 가장 합리적인 확대방식은 경쟁적 시장을 통해서 비용효과적으로 자원조달이 가능하도록 시장구조를 개선하는 것임.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및 주요 내용
제2장 친환경 분산에너지자원의 특성과 활용
1. 친환경 분산에너지자원의 개념 및 특성
1.1. 분산에너지자원의 개념
1.2. 분산에너지자원의 특성
2. 분산에너지자원 활용 해외사례
2.1. 지역 유연성 자원 거래시장(Local Flexibility Market)
2.2. 지역 유연성 자원 거래시장 운영 사례
3. 국내 배전망 운영과 시장제도에서 분산에너지자원 활용의 문제점
3.1. 전통적 배전망 운영 하에서 분산에너지자원 활용의 문제
3.2. 독점적 시장제도 하에서 분산에너지자원 활용의 문제
4. 분산에너지자원의 사업모델과 거래유인
4.1. 분산에너지자원의 사업모델
4.2. 분산에너지자원의 거래유인
제3장 디지털 플랫폼과 배전계통 운영
1. 디지털 플랫폼 기술의 발전과 시장 확대 전망
1.1. 디지털 플랫폼의 특성과 시장의 현황 및 전망
1.2. 분산형 전원 디지털 플랫폼 기술개발 동향
1.3. 분산형 전원 디지털 플랫폼 시장 동향 및 전망
1.4. 소결
2. 디지털 플랫폼 기반 배전계통 운영의 기능과 역할
2.1. 송전계통운영자(TSO)와 유연성 자원확보를 위한 보조서비스
2.2. 분산에너지자원의 시장참여 범위 확대
2.3. 배전계통운영자(DSO)의 기능과 역할 확대
3. 분산에너지자원의 배전계통 영향
3.1. 분산에너지자원의 배전계통 연계
3.2. 분산에너지자원 보급 초기의 계통
3.3. 분산에너지자원 확산 안정화 계통
제4장 분산에너지자원과 배전계통의 연계체계구축모델 분석
1. 배전계통운영자(DSO) 도입의 비용-편익 분석
1.1. 연구방법론: 배전계통 투자 및 운영 방식의 변화
1.2. 실험설계
1.3. 분석결과
1.4. 소결
2. 분산에너지자원과 배전계통의 연계 및 운영 체계 모델 정립
2.1. 배전계통운영자(DSO) 모델과 특성
2.2. 국내 배전계통운영 모델 정립
제5장 분산에너지자원의 시장 재설계와 구조 분석
1. 통신부문의 시장자유화와 활성화 사례 분석
1.1. 통신서비스 산업의 구조 조정
1.2. 통신서비스 산업의 구조조정 및 경쟁체제 구축
1.3. 통신서비스 시장의 성장 및 전환
1.4. 방송․통신 융합 등 기술 융합 대응
1.5. 소결
2. 분산에너지자원의 거래유인 제고를 위한 시장 재설계
2.1. 분산에너지자원의 성장 잠재력 확대
2.2. 분산에너지자원 거래유인 확대와 시장 재설계
3. 분산에너지자원의 시장거래 활성화를 위한 모델 분석
3.1. 개인 간(Peer to Peer) 거래의 행위자기반 모형
3.2. 개인 간(Peer to Peer) 거래를 위한 경매 이론
3.3. 행위자기반모형의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4. 배전계통 운영과 시장참여자의 이해관계 조정
4.1. 분산에너지자원의 제어와 관리
4.2. 시장참여자의 이해관계 조정
제6장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연계 기술과 시장의 조화 방안
1. 배전계통 연계 기술의 적용
1.1. 분산에너지자원의 계통연계 문제
1.2. 분산에너지자원의 계통연계 기술 적용
2. 전력시장 구조의 설계
2.1. 분산에너지자원의 확대를 위한 규제완화
2.2. 분산에너지자원 활성화를 위한 시장구조 개선
3. 분산에너지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3.1. 분산에너지자원의 계통연계와 효율적 운영
3.2. 분산에너지자원 활성화를 위한 시장제도 개선
3.3. 분산에너지자원의 활성화를 위한 배전계통 연계의 기술과 시장의 조화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