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3An investigation on social acceptability of hydrogen station based on spatial econometric model
공간계량모형을 이용한 수소충전소의 사회적 수용성 결정요인 연구
- 연구참여자
- 김민규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xi 158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1-107)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29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0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29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0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필요성
○ 정부가 목표하고 있는 수소 모빌리티 사회로의 이행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수소충전소에 대한 지역 주민의 수용성 부족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수용성 부족은 수소차량 보급․확산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연구는 부재한 상황임.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 우리 국민의 거주지 인근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을 식별하고,
-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지역별 수용성의 차이와 지역별 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 수소충전소 건설의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론 및 주요 분석 결과
■연구의 주요 방법론
○ 먼저 문헌연구와 전문가자문그룹(EAG) 운영을 통해 수소충전소건설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결정요인들을 사전적으로 발굴하였음.
○ 수소충전소에 대한 수용성의 크기를 정량화하기 위해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분석의 기반으로 하되, 이항로짓분석과 공간가중회귀모형(GWR) 등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수용성에 대한 다각적인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음.
■주요 분석 결과
○ 정량분석 결과에 따르면 문헌연구와 EAG를 통해 발굴한 수소충전소 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결정요인들은 많은 경우에 선행연구 및 선험적 추론과 부합하게 나타났음.
○ 그러나 정량분석 결과가 선행연구나 EAG를 통해 예상된 선험적 추론과 상이하게 나타난 요인들도 나타났으며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음.
○ GWR을 통해 전역적 모형에서 탐지할 수 없었던 지역별 수용성의 차이와 결정요인을 발견하였음.
○ 특히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수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경우 수소충전소 자체에 대한 우려 이외 외부적 요인도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3. 결론 및 정책제언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역할 구분 및 수소충전소 입지 지역의 주민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수용성 제고 전략을 수립
○ 중앙정부는 개별사업에 대한 수용성 개선 전략 마련보다 수소충전소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정책 대안을 마련
○ 지자체는 실제 충전소 사업자와 함께 지역 민원의 인식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수용성 개선 정책을 전략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건설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경우 주민 수용성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소를 활용한 부분으로 지역상생(regional benefit)모델이 좋은 정책 대안이 될 수 있음.
■향후과제
○ 향후 수소충전소 수용성 개선을 위한 보다 세밀하고 정치한 정책대안 개발을 위해서는 실례(實例)들을 기반으로 한 실증연구가 필요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제2장 수소충전소 보급 및 관련 정책동향
1. 우리나라의 수소충전소 보급 현황
1.1. 수소충전소 보급 정책
1.2. 수소충전소 보급 동향
2. 수소에너지에 대한 대국민 수용성 제고 정책 현황
제3장 수소충전소 수용성의 결정요인 분석
1. 연구 설계 및 분석방법론
1.1.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체계
1.2. 조건부가치평가법(CVM)
1.3. 공간가중회귀모형(GWR)
2. 자료의 구축
2.1. 문헌 분석
2.2. 전문가자문그룹(EAG) 운용 및 주요결과
2.3. 조사표의 구성
2.4. 조사결과의 개요
3. 수소충전소의 수용성 결정요인 식별
3.1. 분석모형
3.2. 분석결과
4. 수소충전소 건립의 수용의사액(WTA) 추정
4.1. 분석모형
4.2. 분석결과
5. 수소충전소 수용성의 공간적 이질성 결정요인 분석
5.1. 분석모형
5.2. 분석결과
6. 지역별 수용성 차이의 결정요인 분석
6.1. 수용성 차이에 기반한 지역 분류
6.2. 집단 간 차이분석1: 수소관련 지식의 영향 정도 비교
6.3. 집단 간 차이분석2: 정부․지자체에 대한 신뢰도
7. 소결
제4장 지역의 인식차이를 반영한 수소충전소의 수용성 제고모델
1. 수용성 개선을 위한 전략적 차별화 정책 개발
1.1. 중앙정부의 역할
1.2. 지자체·수소충전소 사업자의 역할: 인식의 특성에 따른 전략적 수용성 제고 전략 수립
2. 지역상생 모델 기반의 수용성 제고 사례
2.1.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민 수용성 영향
2.2. 사례모델: 미래차 메가스테이션 조성 시범사업
제5장 결론
1. 요약 및 주요 결론
2. 연구의 기여도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 문헌
부록1
부록2
부록3
부록4
부록5
부록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