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8A Study on Strengthening the Demand Response Market Using a Data-Driven Bottom-Up Approach(2/3)
상향식 접근법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수요관리시장 강화 및 신산업 육성방안 연구(2/3)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xi 10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7-109)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30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0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30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0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수요자원거래시장이 개설된 지 8년 차인 올해에 정량적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
○ 일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경제학적 모형을 기반으로 한 시장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개선점 발굴이 요구됨.
○ 수요자원거래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향식 접근방법을 통해 연구를 세부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참여업체 수준의 빅데이터 분석이 필요함.
○ 이와 더불어, 과거에 개편되었거나 현재 시행 중인 제도의 특성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재평가하여 효율성 개선 노력이 요구됨.
■연구의 목적
○ 수요자원거래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론적인 모형을 제공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더불어 수행함으로써 현실적으로 타당하면서 실질적인 정책적 개선점을 제공하고자 함.
○ 수요반응 시점에 참여업체 수준에서의 경제학적 행동 변화를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관련된 빅데이터 DB를 구축하고 상향식 접근방식으로 절감량을 분석하여 시장 세분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
○ 현행 제도의 특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무적인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수요자원거래시장의 비용 효과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시장 체계(optimal market mechanism)를 제안
○ 최적 고객기준부하와 최적 정산금 체계는 수요관리사업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정책적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최적 시장 체계와 현 수요자원거래시장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시장의 비효율성을 진단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 도구를 제안
○ 우리나라는 지난 7년간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운영을 통해 1조 1천 8백억 정도의 비용을 투입하였고 47번의 신뢰성 수요반응이 발동되었음.
○ 진실된 고객기준부하의 추정을 위해 계량경제학적 방법론과 기계학습론적 방법을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결과, 두 방법론을 사용하여 시나리오 분석하는 방식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불완전 정보 하에서는 현행 고객기준부하와 정산금 체계가 수요자원거래시장의 비효율성을 어느 정도 발생시키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추정함.
■수요자원거래시장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 DB 구축 및 분석
○ 2014년 11월 25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총 7차례의 사업 기간 동안 존재했던 469개 수요자원의 시계열 DB를 15분 단위로 구축함.
○ 신뢰성 수요반응일과 특수일 수요반응일 시점에 맞춰 수요자원의 행동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수요자원은 계약종별, 그리고 세부업종별로 분해하여 절감량 분석을 시행함.
○ 참여업체 간 이질적인 특성에 따른 절감량 실적을 분석함으로써 수요자원거래시장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함.
■과거에 개편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 도출
○ 수요자원거래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기소비형태 검증을 통과해야 하나 그 실효성에 문제 제기가 있음.
○ 2020년도 제도 개편에 따라 수요자원거래시장은 피크수요와 미세먼지 수요반응을 도입하였고 그에 따른 시장의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3. 결론 및 정책제언
■결론
○ 수요자원거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는 합리성에 기반한 이론적 모형,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증적 분석, 그리고 현실성에 기반한 제도적 성찰이 모두 함께 어우러져야만 가능함.
○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참여 업체들의 도덕적 해이에 따른 시장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정산금 및 평상시 전력사용량 산정 체계에 변화가 필요함.
○ 기존의 총량 중심의 분석을 통해서는 시장의 효율성 개선점 도출에 한계가 있으므로 참여업체 수준에서 빅데이터 DB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이를 통한 시장 세분화 정책 방안이 필요함.
○ 기존 제도의 한계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수정된 전기소비형태 검증 통계량과 새로운 정책적 도구가 필요함.
■정책제언
○ 현 고객기준부하와 정산금 체계는 수요자원의 도덕적 해이를 발생시키는 시장의 비효율성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최적시장 체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세부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상향식 접근방법을 이용해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성과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기존의 전기소비형태 검증 기준 등 기존 제도들의 개선을 통해 수요자원거래시장의 효율성 개선 노력이 요구됨.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 수요자원거래시장의 개요
2. 수요관리사업자의 효용 극대화 문제
3. 사회적 설계자의 비용 최소화 문제
4. 미시적 최적해의 도출
제3장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사회후생손실 추정
1. 시간대별 총발전량 자료
2. 수요반응의 발동 시기 및 요인 분석
3. 고객기준부하의 실증론적 추정
3.1. 계량경제학적 방법론
3.2. 기계학습론적 방법론
3.2.1. 기계학습론적 방법론 모형 개요
3.2.2. 손실함수
3.2.3. 실증분석 결과
4. 불완전 정보 하에서의 수요자원거래시장
제4장 수요자원거래시장의 빅데이터 DB 구축 및 분석
1. 수요자원거래시장의 빅데이터 구조
2. 수요자원거래시장 빅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제5장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제도 변화에 대한 평가
1. 수요자원의 전기소비형태 검증(RRMSE)
1.1. 수요자원의 전기소비형태 검증의 중요성
1.2. 현 RRMSE 기준에 대한 재고찰
1.3. 수요자원의 전기소비형태 검증에 대한 정책적 평가
2. 수요자원거래시장의 제도 개선에 따른 참여주체의 변화 분석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