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5study on policies for responding to a surge in demanad for critical minerals
핵심광물 수요 급증에 대비한 자원안보 확보 방안 연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xiii 10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3-109)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52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5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52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5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n 연구의 필요성
○ 전 지구적인 청정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으로 인해 핵심광물 수요가 급증할 전망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에너지전환 광물과 소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정책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기초자료인 중장기 수요 전망이 필수적임.
n 연구의 목적
○ 에너지전환 관련 핵심광물의 국내 중장기 수요를 전망하고, 이를 토대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자원안보 확보 방안을 제시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n 국내 전기차와 풍력발전 확대로 2040년 핵심광물 수요가 2021년 대비 4~19배 증가
○ 본 연구에서는 동적 물질흐름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핵심광물 수요전망 모형을 구축
○ 2040년 국내 전기차(승용차만 한정) 보급(판매)대수가 2021년 대비 11배 증가함에 따라 핵심광물 수요도 크게 증가
○ 2040년 국내 풍력발전 신규설치용량이 2022년 대비 8배 증가함에 따라, 풍력터빈에 필요한 2040년 핵심광물 수요는 2022년보다 네오디뮴은 2.6배, 프라
세오디뮴은 3.1배, 디스프로슘은 21.6배, 터븀은 2.7배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
n 핵심광물 수요 전망결과는 기술 및 정책변수에 따라 큰 변화를 보임.
○ 본 연구에서는 핵심광물 수요가 전기차 보급전망치, 배터리 양극재 기술개발, 풍력발전 터빈 기술개발, 재자원화율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
여, 기술 및 정책변수에 따른 핵심광물 수요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
n 리튬/니켈/망간/코발트는 재자원화가 2030년경을 전후로 주요 공급원으로 역할이 전망되는 반면, 희토류의 재자원화는 2040년까지는 미미할 전망
○ 국내 전기차(승용차만 한정) 폐배터리의 재자원화율을 100%로 가정 시 2040년 재자원화를 통한 2차 공급량은 2040년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에 필요한
리튬 수요량의 22%, 니켈 수요량의 28%, 망간 수요량의 9%, 코발트 수요량의3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
○ 국내 전기차 폐모터나 풍력발전 폐터빈의 재자원화를 통한 희토류의 2차 공급량은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됨.
n 재자원화를 통한 2차 공급량은 재사용에 따라 크게 변화
○ 전기차 폐배터리가 ESS 등 다른 용도로 재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기차 폐배터리가 재사용되었을 때 재자원화를 통한 2차 공급량이 얼마나 정
량적으로 변하는지를 분석
○ 전기차 폐배터리를 ESS에 재사용함으로써 ESS의 핵심광물 수요를 낮추는 역할을 할 것임.
3. 정책제언
n 국내 양극재 제조기업의 국내 설비용량 확대계획에 따른 핵심광물 수요가 급증할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비축 확대 등 정책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양극재 제조기업의 국내 설비용량 확대계획에 따른 2025년 핵심광물 수요는 2021년보다 리튬은 3배, 니켈은 4배, 망간은 2배, 코발트는 2배 많은 규모로
전망
n 핵심광물의 안정적 공급확보 방안 수립 시, 국내 관련 산업의 공급망 구조를 고려 필요
○ 국내 기업이 중간재 및 소재의 국내생산 확대 계획을 고려하면 향후 국내 공급망 구조도 현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
○ 투자계획이 실행된다면 국내 수산화리튬 생산량은 2022년 대비 5배로 증가할것이므로 리튬의 공급안정성은 현재보다 높아질 것임.
○ 니켈, 망간 그리고 코발트의 경우도 최근 국내 전구체 생산기업의 설비투자확대로 2025년 국내 전구체 자급률이 4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n 미국의 IRA 발효로 인해 산업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국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핵심광물자원 공급망의 전환이 필요하며, 수입선 다각화, 광물 및 소재 수요
기업에 대한 지원제도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
○ 우리나라는 배터리 핵심광물자원 및 부품 공급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높아, 미국 IRA는 국내 전기차 및 이차전지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존도가 높은 수산화리튬을 수입하는 대신 탄산리튬을 수입해 수산화리튬을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중국의존도가 높은 전구체를 수입하는 대신 국내에
서 제조할 경우 핵심광물의 중국의존도를 낮출 수 있음.
n 핵심광물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재자원화 강화
○ 에너지전환 산업의 높은 수입의존도를 고려할 때 공급망 차원에서의 원자재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정책적으로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음.
○ 수익성 차원에서도 국내 재자원화산업을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핵심광물 및 희토류의 글로벌 수급 동향
1. 개요
2. 수요
2.1. 리튬이온배터리
2.2. 리튬
2.3. 니켈
2.4. 코발트
2.5. 망간
2.6. 흑연
2.7. 희토류
3. 공급
3.1. 리튬
3.2. 코발트
3.3. 니켈
3.4. 망간
3.5. 흑연
제3장 국내 에너지전환 관련 핵심광물 공급구조 분석
1. 리튬
1.1. 정광
1.2. 제련제품(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
1.3.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1.4. 이차전지(리튬이온전지)
2. 니켈
2.1. 정광
2.2. 니켈괴(브리켓, 캐소드, 유틸리티니켈 등)
2.3. 황산니켈
2.4. 전구체
3. 코발트
4. 희토류
4.1. 정광
4.2. 네오디뮴 영구자석
제4장 핵심광물 수요 전망
1. 전기차 리튬이온전지
1.1. 전망 방법
1.2. 자료 및 주요 전제
1.3. 전망 결과
1.4. 설비 확대계획을 반영한 핵심광물 수요 전망
2. 전기차 모터
2.1. 전망 방법
2.2. 자료 및 주요 전제
2.3. 전망 결과
3. 풍력 터빈
3.1. 전망 방법
3.2. 자료 및 주요 전제
3.3. 전망 결과
제5장 정책적 시사점
1. 주요 연구결과
2.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