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자체연구보고서 19-02Overseas case study of hydrogen supply sector for hydrogen economy invigoration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공급부문 해외사례 연구
- 연구참여자
- 이수출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 vi v 62p
- 총서사항
- KEEI 자체연구보고서 19-02
- 서지주기
- 참고문헌(59-62p) 수록
- 키워드
- 수소경제, Hydrogen economy, 수소에너지, 수소생산, 수소공급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06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0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0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0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소공급 능력 제고를 위해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대안을 점검하기 위해 수소경제 추진을 선도하고자 하는 주요 선도국의 수소 공급역량 확충 정책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한다. 또한 해외사례 분석결과와 우리나라 정부가 제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수소 공급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수소 공급시스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장 주요국의 수소 공급 정책
1. EU의 수소 공급 정책
1.1. EU 수소 로드맵의 개요
1.1.1 수소에너지의 중요성
1.1.2 EU 수소 로드맵의 목표
1.2. EU 수소 생산기술 로드맵
1.2.1. 전기분해 기술
1.2.2. 기타 수소 생산기술
1.3. EU 주요국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2. 일본의 수소 공급정책 분석
2.1. 일본의 수소경제 추진 정책
2.1.1. 일본의 수소 경제 추진 동향
2.1.2. 일본의 「수소·연료전지 전략 로드맵」(2014)
2.1.3. 일본의 「수소·연료전지 전략 로드맵」(2019)
2.2. 일본의 수소 공급정책
2.2.1. 일본의 국내 수소 공급정책
2.2.2. 일본의 글로벌 수소 공급정책
2.3. 일본의 수소공급 주요 프로젝트
2.3.1. 호주 수소생산 프로젝트
2.3.2. 브루나이 수소생산 프로젝트
2.3.3. 후쿠시마 수소생산 실증 프로젝트
3. 호주의 수소 공급정책 분석
3.1 호주의 수소 정책
3.1.1 호주의 국가 수소 로드맵
3.1.2 호주의 수소 전략
3.2. 호주의 수소 생산
3.2.1.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
3.2.2. 화석연료를 이용한 수소 생산
3.3. 지역별 수소 정책 및 주요 프로젝트
3.3.1. 호주의 지역별 수소공급 정책
3.3.2. 호주의 지역별 수소 프로젝트
제3장 수소 공급방식별 비교 분석
1. 수소 공급방식의 장단점 분석
1.1. 수소 생산방식별 장단점
1.1.1. 스팀매탄개질의 장점과 한계점
1.1.2. 석탄가스화의 장점과 한계점
1.1.3. 수전해의 장점과 한계점
1.2. 수소 생산방식별 평가
2. 수소 공급방식별 경제성 비교
2.1. 수소 생산 방식
2.2. 수소 생산 기술별 경제성
제4장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내 수소공급 시스템
1. 수소 공급방식별 국내 적용가능성
1.1. 우리나라 수소 공급정책 방향
1.2. 국내 적용가능성 검토
2. 수소 공급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시사점
참고문헌